수영 불모지로 통하던 한국에 또 한 명의 '괴물'이 등장했다. 만 19세 황선우(강원도청)가 자유형 200m 세계 2위라는 대업을 이뤘다.
황선우는 21일(한국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두나 아레나에서 열린 2022 국제수영연맹(FINA)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200m 결승에서 1분44초47로 터치패드를 찍었다.
1분43초21의 다비드 포포비치(루마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레이스를 마친 황선우는 자신의 생애 첫 세계선수권 메달을 은색으로 장식했다.
한국 경영 선수가 세계선수권 시상대에 오른 것은 2011년 상하이 대회 박태환의 자유형 400m 금메달 이후 11년 만이다. 자유형 200m로 범위를 좁히면 2007년 멜버른 대회 박태환의 동메달 이후 15년 만의 쾌거다.
한국 선수의 자유형 200m 세계선수권 역대 최고 성적도 황선우의 차지가 됐다.
한국 수영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육상과 함께 세계 최고 레벨은 엄두도 내지 못할 정도로 열약했다. 종종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가 나오기도 했지만,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에서는 결승 진출도 남의 일처럼 받아들여졌다.
이런 풍토를 단번에 바꾼 이는 '마린보이' 박태환(33)이다. 박태환은 2009년 로마세계선수권 예선 탈락과 2011년 상하이 세계선수권에서 1번 레인을 배정 받고도 자유형 200m 우승이라는 기적의 레이스를 선보이는 등 크고 작은 풍파 속 10년 가까이 한국 수영을 지탱했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선수"라는 박태환이 어느덧 30대 중반에 접어든 사이, 그를 보면서 꿈을 키웠던 황선우가 바통을 넘겨받았다.
서울체고 2학년에 재학 중이던 2020년 11월 국가대표 선발전 자유형 100m에서 48초25로 박태환의 기록을 깨뜨린 황선우는 지난해 도쿄올림픽에서 완전히 눈도장을 찍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