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리그(MLB) 노사가 국제 드래프트 도입에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MLB 선수노조는 26일(한국시간) 성명을 내고 국제 드래프트와 관련한 MLB 사무국의 '최종 제안'을 거절했다고 밝혔다.
MLB 사무국은 올 시즌을 앞두고 선수노조와 새 단체협약(CBA)을 논의하면서 국제 드래프트를 제안했다. 하지만 좀처럼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현지시간으로 7월 25일까지 관련 논의를 진행한 후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양 측은 합의를 이어왔으나 선수노조가 MLB 사무국의 최종 제안을 거절하면서 국제 드래프트 도입은 무산됐다.
지금까지 MLB 구단들은 미국, 캐나다, 푸에르토리코 이외 지역 출신 선수들과 자유롭게 계약했다.
해외 아마추어 선수 계약 구단별 한도 금액 내에서 자유롭게 영입이 가능했다. 구단별 상한액은 지난 2012년 도입됐다.
MLB 사무국은 해외 아마추어 선수 영입 시장에 부패가 만연하고, 해외 유망주에 대한 경쟁이 과열되자 국제 드래프트 도입을 추진했다. 드래프트를 실시해 지명 순번에 따라 보장된 계약금을 설정하는 방식을 추진했다.
그러나 중남미 출신 선수들의 반발이 거셌다. 국제 드래프트를 실시할 경우 자유롭게 계약하는 현 시스템보다 계약금이 적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
결국 양 측은 4개월이 넘는 논의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선수노조는 "국제 드래프트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보다 의미있는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 또 국제 드래프트 대상이 될 선수들이 국내 드래프트 대상 선수들과 비교해 불공정한 대우를 받아서는 안된다"고 입장을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