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내년 4월 10일 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을 총괄할 공천관리위원회를 이르면 다음 달 중순 출범시킨다. 29일 당 총선기획단은 국회에서 4차 회의를 열어 이같이 논의했다고 전략기획부총장인 배준영 의원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배 의원은 "공관위를 12월 중순이나 늦어도 12월 말까지 하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지난번 총선에 비해 한 달 정도 앞당기는 것"이라며 "경쟁력 있는 후보를 빨리 발굴해 현장에서 빨리 뛰게 해 총선 승리 확률을 높이고자 한다"고 밝혔다.
배 의원은 공관위원장 인선에 대해 "스케줄대로 준비할 것"이라며 "좋은 분이 와서 공천 관리를 잘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또 최근 당무감사 결과를 공천에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해 "(총선기획단이 정리한) 가산점·감점 평가지표는 공관위에 넘겨 그 기준대로 공관위가 운영하도록 할 것"이라며 "공관위가 당무감사 콘텐츠와 총선기획단이 만든 틀을 조합해 합리적 결론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총선기획단은 이날 회의에서 당 조직국의 지역구별 판세 분석을 보고받았다.
이와 관련해 배 의원은 "현 상황을 놓고 본 것이고 앞으로 여러 변수가 있지 않겠나"라며 "그 지역에 어떤 후보가 가냐에 따라 판세 분석이 달라질 수 있고, 다른 외부 요인들도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배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비례대표제 입장을 빨리 정하라고 촉구했다.
현재 국민의힘은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요구하고 있다.
배 의원은 "민주당이 비례대표제에 대해 뚜렷한 입장이 있는지 굉장히 의문스럽다"며 "(민주당이) 병립형 비례제를 하는 것으로 인지했는데, 지금 준연동형 비례제를 할지 어떻게 할지 확실한 방향을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 게 변수로서 총선 전략에 영향이 있다"며 "민주당은 입장을 정해서 국민들이 총선에서 선택할 권리가 유보돼 불이익당할 그런 가능성을 없애달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현행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와 병립형 회귀를 놓고 의견이 팽팽하게 갈리고 있는 모습이다.
그동안 현행 준연동형 비례제를 유지하되 '비례 위성정당' 창당 금지 입법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했으나, 최근 들어 '실리를 챙겨야 한다'는 현실론도 제기되고 있어서다.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