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스텍 최승문 교수팀, 진동 화음과 협화도 연구 결과 발..
사회

포스텍 최승문 교수팀, 진동 화음과 협화도 연구 결과 발표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6/18 21:27 수정 2014.06.18 21:27
스마트기기로 다양한 경험 기대
 ▲ 최승문 교수     © 운영자
포스텍(포항공과대)은 컴퓨터공학과 최승문 교수<사진> 통합과정 유용재씨 팀이 음악에 흔히 사용되는 ‘화음’ 개념을 빌려 여러 주파수를 가지는 진공에 대한 인간의 인지특성을 알아보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음악에서 ‘화음’은 2개 이상의 음정이 동시에 연주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화음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협화도(consonance)’라고 부른다.
이 개념을 진동에 응용하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주파수가 동시에 재생되는 것을 ‘진동 화음’으로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40명의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실험을 통해 80개의 서로 다른 진동 화음을 경험하게 한 뒤 이에 따른 협화도를 측정해 경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진동화음을 구성하는 두 진동의 주파수차, 즉 맥놀이 주파수(beat frequency)와 협화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을 뿐 아니라 이 변화양상 역시 음악에서 보는 협화도와 아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음악에서 화음을 느끼는 것처럼 맥놀이 주파수가 낮을수록 협화도가 낮아지고 불쾌하게 느껴지며 맥놀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협화도가 높고 편안하게 느낀다는 결과를 통해 진동화음에서도 편안함을 느끼는 화음, 혹은 ‘불협화음’이 있다는 것 역시 규명했다.
이 연구는 손끝을 통해 느껴지는 ‘햅틱(haptic)’ 자극에서 어울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협화도’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하는 한편 이를 체계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제1저자인 유용재씨가 학부시절에 과제연구를 위해 진행했던 연구라는 점도 화제가 됐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릿 등 각종 스마트기기에 적용해 다양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마트기기의 어플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햅틱기술 관련 권위지인 IEEE 트랜잭션tm온햅틱스(IEEE Transactions on Haptics)지를 통해 최근 발표됐다.                                                              김동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