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출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선조 국적은 일본’이란 주장을 이어가면서 “국민들이 모두 공감하는 올바른 역사관을 세워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김 장관은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이 문제(일제강점기 당시 선조 국적)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많을 수 있다. 이 부분은 학계에 맡길 문제”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 “학술적 연구와 토론이 많이 일어나길 바란다”고도 말했다.
그러자 야당 위원들은 ‘탄핵’을 언급하며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은 “국무위원은 헌법정신을 구현해야 하는 위치”라며 “이러한 헌법정신에 위배되는 언사와 언동은 탄핵사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이학영 의원도 “일본지배가 합법적이었으므로 나라가 없었어야 한다는 입장을 김 후보자는 선택했다”며 “아직도 반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2~3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일제강점기에 거주한 한국민 국적은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한민국이 일본에 의해 식민지화됐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적은 없었다”고 답하고 이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또 김 장관은 ‘국회가 없으면 장관 할 만하다’는 발언에 대해선 오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국회가 이만큼 중요하다고 방송에서 발언했다”며 “국회 중시 발언이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지난 4일 KBS1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장관으로서 인사 청문하는 게 보통 힘든 게 아니다. 제 아내도 아주 힘들어서 죽겠다고 그러고, 저도 해보니까 국회만 없으면 장관 할 만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진행자가 “국회 경시 발언이라고 국회에서 또 문제 제기할지 모르겠다”고 하자 김 장관은 “국회를 너무 중시해서 아주 무겁다”고 답했다.
한편, 지난 6일 한국갤럽이 지난 3~5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은가’라는 선호도 조사 결과, 김문수 장관이 응답 대상에 포함되며 2%를 기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김 장관과 마찬가지로 2%의 선호도를 보였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각각 1%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가는 “김문수 장관이 전화면접 조사에 언급되기는 8년여만”이라면서 “2014년 8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매월 장래 정치 지도자 조사 후보군에 들었고, 선호도 2~6%를 기록한 바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응답률은 11.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