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6세기 토기가마 3기 발굴
잔존상태 양호 완벽 복원
고령군은 대가야 최대규모의 토기가마로 추정됐던 고령 합가리 토기가마유적에 대한 학술발굴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대가야 최전성기에 운영된 토기가마 3기 등 다량의 토기자료를 확인했다.
이번 조사는 고령군청의 고령 합가리 토기가마유적 학술조사 계획에 따라 진행된 학술발굴조사로, 지난 3월 24일부터 시작해 오는 5월 16일까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적에서는 대가야시대 토기가마 3기・폐기장 3개소와 신라시대 석곽묘 1기・석실묘 1기가 확인됐다.
출토유물로는 흙방울・동물모양토우(土偶)・바리모양 그릇받침・원통모양 그릇받침・낮은 원통모양 그릇받침・긴목항아리・손잡이바리・굽다리접시・뚜껑 등 대가야를 대표하는 토기구성이 모두 확인됐다. 또한 석곽묘에서 허리띠장식 조각・관못・뚜껑 조각, 석실묘에서 짧은굽다리접시, 뚜껑 등이 출토됐다.
지금까지 고령지역에서 대가야시대 토기가마유적으로 알려진 곳은 합가리 토기가마1・2, 송림리 토기가마, 외리 토기가마, 연조리 토기가마 등 총 5곳이다. 이 중 발굴조사가 실시된 곳은 2017년 발굴조사된 고령 송림리 토기가마유적 이후 두 번째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고령 합가리 토기가마는 대가야시대 최전성기인 5세기 말~6세기 초로 편년되는 토기를 생산했던 것으로 밝혀졌고, 토기가마의 천장・연도부・소성부・연소부・회구부 등 대가야시대 토기가마의 구조를 완벽히 복원할 수 있는 첫 사례이다.
이러한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가야 토기의 생산과 유통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대가야시대 동물모양토우는 고령지역에서 확인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진성섭 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 대가야 토기생산기지로 알려졌던 고령 합가리 토기가마의 실체를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5세기 말~6세기 초로 편년되는 토기가마의 잔존상태가 양호해 그 구조를 완벽히 복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이남철 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는 그간 소외됐던 대가야 토기생산유적과 토기문화에 대한 역사복원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차적 발굴조사와 학술세미나를 통해 유적의 가치를 활성화하고 국가지정유산으로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전했다.윤기영기자[일간경북신문=일간경북신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