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씨와 주고 받은 카카오 톡 메시지도 확인
김형식(44) 서울시의회 의원이 가담한 서울 강서구 60대 재력가 살인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김 의원에 대한 뇌물수수 혐의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또 공범인 팽모(44)씨와 주고 받은 카카오톡 메시지도 확인했다. 혐의를 뒷받침하는 직접적 물증이 될 지에 관심이 쏠린다.
서울 강서경찰서 장성원 형사과장은 2일 기자들과 만나 "김 의원에 살인교사 혐의 외에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혐의를 추가 적용해 검찰에 송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김 의원이 경찰 조사에서 혐의를 부인하는 과정에서 "송씨가 죽기 직전까지 행사때 수건 협찬을 했고 술값도 대줄 만큼 사이가 좋았는데 내가 왜 죽이겠냐"는 진술에 근거한 조치다.
경찰은 김 의원이 써준 차용증 5억2000만원에 대해서도 S빌딩의 용도변경 대가 여부가 입증되면 뇌물수수 혐의에 액수를 추가할 방침이다.
또한 경찰은 김 의원이 팽씨와 범행 후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시지도 확보한 상태다.
장 과장은 "오고 간 카톡 내용을 밝힐 단계는 아니다. 영장을 발부받아 구체적으로 확인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앞서 경찰은 김 의원과 팽씨가 범행 전 타인 명의의 선불폰(일명 대포폰)을 이용해 여러 차례 통화한 내역과 문자를 확보했지만,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김 의원이 증거 인멸을 위해 버린 것으로 추정되는 대포폰을 발견하지 못한데다, 팽씨의 휴대전화도 초기화된 탓에 문자 복원이 불가능해서다.
김 의원은 팽씨와 대포폰으로 연락한 것에 대해“팽씨와 룸살롱과 같은 은밀한 곳에 가려고 (대포폰을) 만들었다. 도청이 난무해서 많은 정치인들이 대포폰을 만든다. 의리있는 깡패와 통화한 사실을 외부에 알리고 싶지 않았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 의원이 사용한 대포폰은 지난해 12월 개통했다가 팽씨가 중국으로 도피한 날인 지난 3월6일 마지막으로 사용됐다.
대포폰의 발·수신자는 팽씨 한 명뿐이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경찰 조사 과정에서 자신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음을 스스로 인정했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