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청와대 회동 대화 정국 열리나..
사회

청와대 회동 대화 정국 열리나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7/07 19:50 수정 2014.07.07 19:50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들간의 회동이 이번주내에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 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국빈만찬에 새정치연합이 대통령의 외교활동에 초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참석을 수락하면서 회동의 물꼬가 트이기 시작했다.
세월호 참사와 잇단 국무총리 인선 파행에 따른 '대결 정국'을 '대화 정국'으로 돌리는 단초가 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적잖다.
어렵게 성사된 만남이니만큼 이번 회동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있는 세월호 후속 대책과 민생현안에 대해 대승적 협조를 도출하는 자리여야 한다.
 재난 총괄기구 신설과 해경 해체 등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세월호 사고 진상 규명과 피해자 지원 방안인‘세월호 특별법’, 이른바 관피아 방지를 위한‘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김영란법)’등 대통령과 여야 수뇌부가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박 대통령은 그간 야당 인사와 접촉을 매우 꺼려온 인상이 강하다.
 취임 이후 야당 지도부를 만난 건 지난해 9월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당시 민주당 대표 간 3자 회동이 전부다. 그것도 국가정보원 개혁 문제를 놓고 서로 시각차만 확인하고 끝났다. 인사 실패와 국정 파행, 지지도 하락은 야당을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는 인식도 크게 작용했다고 본다.
국민들은 박 대통령의 이번 회동을 시작으로 여야 대표 청와대 초청회동 등으로 정치권 내부소통을 확대하고 대결의 정치문화를 대화와 상생의 문화로 바꿔나가는데 먼저 손을 내미는 금도를 보여 줄 것을 기대한다. 극한대결의 정치의 피해는 온전히 국민이 감당해야한다는 점에서 상식과 양식이 통하는 대화정치로의 복귀 노력도 대통령의 주요과제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야당도 수권능력을 보이려면 정책 등을 통해 성과를 내야 한다. 대통령과 여당을 윽박지르고 딴죽만 걸어선 안 되는 이유다. 그런 차원에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상시로 만남을 갖는 방안도 회동에서 논의해 볼 만하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