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전북현대, '심판 매수' 파문..
사회

전북현대, '심판 매수' 파문

뉴시스 기자 입력 2016/05/24 16:07 수정 2016.05.24 16:07
 

 

 K리그에 최악의 승부조작 스캔들이 터졌다.

프로축구 K리그 클래식에서 3연패에 도전중인 전북현대가 경기 중 심판에게 뒷돈을 준 사실이 드러났다. 스카우터 개인의 일탈이라고 선을 긋고 있지만 전북 현대는 중징계를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부산지검 외사부는 지난 23일 전북의 특정 인사로부터 유리한 판정을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은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로 2013년 당시 K리그 소속 심판 두 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전북은 곧바로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인사가 구단에 보고 없이 개인적으로 (심판 매수를)진행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직무가 정지됐다. 추후 검찰 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전북이 해당 인사와 확실하게 '선긋기'를 했지만 징계를 피할 순 없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축구연맹 상벌규정에 따르면 '심판 매수 등 불공정 심판 유도행위 및 향응 제공'의 경우 ▲제명 ▲하부리그 강등 ▲1년 이내의 자격정지 ▲10점 이상 승점 감점 ▲1억 원 이상의 제재금 부과 ▲경고 등의 처분을 받게 된다.

경남FC는 지난해 같은 이유로 벌금 7000만원과 승점 10점이 깎인 채로 올 시즌을 시작했다.

연맹 관계자는 "전북 구단과 해당 스카우트 등의 진술 등 사실 관계가 확인되면 상벌위원회가 열린다. 그 곳에서 징계 수위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전북의 주장대로 개인 차원의 매수였는지가 중요하다. 추가 조사에서 전북의 주장과 달리 복수의 인사나 구단 차원의 움직임이 있었던 사실이 포착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그러나 구단의 설명을 곧이 곧대로 믿기에는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스카우터가 본연의 업무와 관련된 사안도 아닌 일에 스스로 나서 돈을 건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만약 구단 설명이 사실이라고 해도 직원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한 구단도 징계는 피할 수 없다.

2000년대 중반 승부조작으로 홍역을 앓던 이탈리아 세리에A에서 유사한 사례가 있다.

명문 클럽 유벤투스를 비롯해 AC밀란, 라치오, 피오렌티나 등 11개 팀의 단장과 심판 등이 연루된 승부조작 혐의가 발견됐다.

2004~2005시즌 19경기, 2005~2006시즌 14경기에서 총 41명이 연루된 대형 스캔들이었다.

당시 심판 배정관을 매수해 유리한 판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 루치아노 모지 전 유벤투스 구단주가 중심에 있었다.

이 일로 유벤투스는 챔피언 자격을 박탈당했다. 2004~2005시즌, 2005~2006시즌 우승을 무효 처리했다. 이 때문에 공식적인 우승횟수와 유벤투스 팬들이 세는 횟수에 차이가 생긴 것이다.

또 2부리그인 세리에B로 강등됐다. 당초 3부리그 강등 징계가 내려졌지만 유벤투스의 반발로 징계가 완화됐다.

현재 서울과 치열한 선두다툼을 벌이고 있는 전북이 경남처럼 단번에 승점 10점 이상의 삭감 징계를 받을 경우, 단숨에 하위권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 올 시즌 K리그 3연패도 물거품으로 돌아갈 수 있는 위기다. 최악의 경우에는 2부 강등까지도 당할 수 있다.

여기에 심판매수 파문이라는 초대형 악재가 터지면서 전북을 둘러싼 싸늘한 분위기 속에 선수단이 온전히 집중할 수 있을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편 전북은 24일 멜버른 빅토리(호주)와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을 치른다.

호주 원정에서 1-1로 비기면서 홈 2차전을 유리한 분위기에서 치를 수 있었다. 0-0으로 비겨도 전북은 8강에 진출한다. 8강 진출을 확정해도 웃을 수 없는 전북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