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道, ‘새마을시민교육워크숍’ 개최..
사회

道, ‘새마을시민교육워크숍’ 개최

강창호 기자 입력 2016/05/31 16:51 수정 2016.05.31 16:51
새마을운동, 전 세계 NGO들의 관심을 끌다


 


30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6월 1일까지 3일간 경주 HICO(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열리고 있는 제66차 UN DPI/NGO 컨퍼런스에서 전 세계 NGO들의 관심을 끄는 곳이 있었다. 바로 새마을시민교육워크숍이다.

새마을시민교육워크숍은 이번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전 세계 100여 개국 2,500여명의 NGO 대표자들과 새마을세계화사업의 경험과 성공사례를 공유하여 개발도상국의 인적역량을 개선하고 빈곤퇴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31일 15시 45분부터 70분간 국내외 NGO 대표 및 지역개발 전문가 100여명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UN과 NGO가 협력하여 전 세계가 마주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협의하는 세계최고 권위의 이번 컨퍼런스에 과거 우리나라 농촌발전의 모델이었던 새마을운동이 하나의 주제로 채택된 것 또한 유례없는 일이다.

그 만큼 새마을운동은 이제 대한민국만의 자산이 아니다.

최근 새마을운동이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효과적 실천수단으로 부각되면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과 함께 전수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SDGs)란 전 세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앞으로 15년간 유엔과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할 목표를 의미하며 17개 목표(169 세부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테면 빈곤종식, 보건과 복지, 양성평등 등이며 이 SDGs 목표 중대부분은 새마을개발의 범주에 속한다. 특히 빈곤탈출의 실제 성공 사례인 새마을개발 방식이 개발도상국을 위한 매우 유용한 학습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도 그동안 경상북도가 새마을세계화 사업을 통하여 육성한 현지 새마을운동 전문가가 직접 주제 발표자로 참여하여 그 의미가 크고,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실감나게 했다.

워크숍은 한도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의 사회로, 발제자 4명, 토론자 2명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