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에서는 최근 지역 일각에서 제기되는 ‘통합이전의 갑작스러운 결정’, ‘K-2만 이전하고 대구공항은 존치’, ‘K-2 부지 일부를 국토교통부(대구공항)로 매각’ 등 통합이전에 둘러싼 각종 의구심을 해소하고, 지역 주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통합이전은 각자 추진하던 K-2 이전과 영남권 신공항 유치의 연장 선상에서 이뤄진 정책결정이다.
K-2 이전은 지역의 오랜 숙원으로서 2007년 대구 동·북구 주민이 주축이 되어 ‘K-2 이전 주민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지속적인 이전논의가 있었으나, 재정부담과 군사적 이유에 따른 정부의 부정적 입장에 따라 번번이 좌절되었다.
- 그러나 2013년 ‘기부 대 양여’ 방식을 근거로 하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K-2 이전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 이 과정에서 K-2 인근지역의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항공소음 및 고도제한 등이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고 K-2 이전에 대한 대구시민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한편, 2006년부터 K-2 이전과 병행하여 본격적으로 추진된 영남권 신공항 유치는 ‘16. 6. 21. 김해공항 확장 및 대구공항 존치 결정으로 무산되고,
- 대구공항 존치 결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에 의한 K-2 이전마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과 반발여론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지역의 여론에 따라 ’16. 7. 11. K-2와 대구공항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결정하였다.
- 통합이전은 도심에 위치한 K-2 군공항에 의한 항공소음 및 고도제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 소음피해 : 24만명(수원 14만명, 광주 1만명)
* 고도제한 : 114.33㎢(대구 도심의 1/3 재산권 행사에 지장)
- 영남권 신공항 유치과정에서 대구·경북 시·도민이 희망해 왔던 제대로 된 대구·경북 관문공항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대구와 경북은 국난이 있을 때마다 어느 지역보다 앞장서서 극복해 온 자랑스러운 역사가 있다.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정략적으로 이용하여 서로 갈등하고 분열하기 보다는 함께 화합하며 대구·경북이 상생하는 방향으로 집단지성을 발휘할 때다.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한데 모으고 지혜와 역량을 결집하여 대구·경북의 자랑스러운 미래를 향해 다함께 손잡고 힘차게 앞으로 나아갈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