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65·사법연수원 10기) 특별 검사 팀이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관련 재계와 삼성그룹이 초조함과 당혹감을 내보이고 있다.
이날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 내부에서는 총수의 구속 영장 청구에 초조함과 당혹감을 내보이고 있다. 삼성그룹은 그간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불기소를 기대했던 만큼 결과에 대한 충격도 크다는 입장이다.
이 부회장이 사법처리 될 경우 삼성은 투자와 대외활동 전반이 사실상 전면 정지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이 부회장과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미래 전략 실이 마비됨으로써 연말 사장단 및 임직원 인사를 비롯한 대내외 일정이 줄줄이 연기되고 있는데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됨에 따라 SK그룹과 롯데그룹 수사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들 기업은 미르·K스포츠 재단에 기금을 출연하는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 등과 사면 등 모종의 거래를 했다는 정황이 상당수 드러난 만큼 총수들이 특검팀의 조사를 받는 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재 특검팀은 2015년 8월13일 단행된 최태원 회장의 광복절 특별사면과 이후 SK그룹이 진행한 미르·K스포츠재단 111억원 출연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정에 대가성이 드러날 경우 뇌물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게 특검팀의 판단이다.
이와 함께 미르·K스포츠재단에 49억원을 출연한 뒤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로 냈던 롯데그룹 역시 특검팀의 주요 수사 대상으로 거론된다.
롯데그룹은 면세점 특허권 재승인 특혜를 대가로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금을 출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미 49억원 상당을 두 재단에 투자한 데 이어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로 낸 배경에 면세점 재승인 청탁이 있었던 것이 아니겠냐는 것이 의혹의 골자다.
K스포츠재단에 추가로 낸 70억원이 총수 일가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 직전 롯데 측에 반납된 것을 두고도 뒷말이 나온다. 돈을 돌려준 것 자체가 추가 출연금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는 해석이다. 검찰 수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윗선'이 추가 출연 과정에 관여했을 거라는 의심도 함께 나온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의 구속여부가 결정되는 대로 SK·롯데그룹 임원들을 불러 제기된 의혹들을 확인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다음 주 부터 이들 기업 임원들에 대한 줄 소환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관련 대한상의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영장 청구 관련 삼성전자는 글로벌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CEO를 구속 수사할 경우 한국경제에 미칠 파장 등이 매우 걱정스럽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