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지난해 조직폭력배 623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100명을 구속했다고 19일 밝혔다.
붙잡힌 조직폭력배 가운데 17명은 두목급, 6명은 부두목급이었으며 5명은 고문 역할을 맡는 등 모두 28명이 수원 최대 조직 A파 등 20개 폭력조직의 간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거된 조직폭력배의 범죄 유형은 폭력행사가 229명(36.8%)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중고차 관련 불법 행위 49명(7.9%), 서민 갈취 19명(3.0%), 사행성 불법 영업과 유흥업소 갈취가 각각 14명(각 2.2%) 등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마약류 유통, 성매매, 불법 및 변태 영업, 인터넷 도박 운영, 이권 다툼 등 범죄유형은 가지각색이었다.
지난해 검거된 조직폭력배 가운데 특히 두목급 등 간부급이 많았는데, 범행에 있어 일선으로 나오지 않았던 두목급이 조직의 존속과 기강을 잡기 위해 직접 폭행에 가담했다가 경찰에 검거되는 사례가 많았다.
실제 오산에서 활동하는 B파 두목 C(46)씨는 지난해 3~4월 술집에서 부하 조직원들을 맥주병 등으로 무차별 폭행한 혐의(특수폭행)로 경찰에 구속됐다.
또 인천지역에서 활동하는 D파 두목 E(46)씨도 2013년 9월부터 경기 화성에서 F파 조직원과 함께 사행성 PC게임장과 성매매업소를 차려 불법 영업을 하다가 지난해 4월 경찰에 성매매알선 등의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지난 한 해 조폭 소탕에 성과를 거둔 경찰은 지난해 말 꾸린 '조직폭력 전담팀'을 중심으로 올해도 단속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12일부터 활동 중인 조폭 전담팀은 일선 경찰서를 포함해 44개팀 214명으로 구성돼 각 지역에 맞는 조직폭력배과 동네조폭 등에 대한 단속을 이달 말 31일까지 벌이고 있다.
또 오는 2월께 2017년 관리 대상 조직폭력배를 선정할 예정인 경찰은 재범 우려가 있는 조폭은 선별해 집중 관리하는 등 동향 파악에도 나설 방침이다.
특히 조직폭력배의 범죄 경향이 점차 기업형·지능형 불법 행위로 진화하고 있는 만큼 이에 맞춰 조직운영자금 차단에도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 검거한 조폭 가운데 출소한 이들의 재범과 함께 보복 폭행 예방 등을 통해 피해자 보호 활동도 강화할 것"이라며 "조폭 피해자와 담당 수사관 사이 핫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가명(假名)조서 및 맞춤형 신변보호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