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시장 이강덕)는 국내 최초로 지열을 이용한 전력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한국에서 가장 뜨거운 곳 흥해읍 남송리 일대에서 땅 밑 4㎞아래 온도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시도를 현실화하고 있다.
국내 대부분 전력 생산은 원자력과 화석연료로 충당하고 있지만, CO₂배출과 미세먼지 발생에 따른 대기오염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현재 포항 지열발전소는 1단계로 사업비 433억원을 투자해 올해 4월에 1.2㎿급 실증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상용화를 위한 2단계는 지열발전 플랜트 컨소시엄을 구성해 800억 규모 투자를 통해 설비용량 5㎿급을 추가 증설해 총 규모 6.2㎿급의 지열발전소를 오는 2019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화산지대의 경우 뜨거운 화산성 지열원이 지표 근처에 있어 지하 1㎞ 정도만 시추해도 150도가 넘는 뜨거운 지열로 전기를 생산 할 수 있지만, 비화산지대인 우리나라는 지열발전에 필요한 땅속에 뜨거운 열원이 있어야 하고 이 열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매개체인 지열유체, 지열유체가 저장된 저류구조가 필요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포항일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뜨거운 지열을 지니고 있어 지하 5㎞ 깊이에서 최대 180도로 조사되는 등 포항이 비화산지대로는 최적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포항지열발전소 박정현 대표는 “포항은 화산지대가 아닌 비화산지대로는 유일하게 인공저류 지열발전 방식(EGS)으로 국내는 물론 아시아 최초로 ㎿급 지열발전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내년부터 이 기술을 통해 1.2㎿의 전력을 생산해 1000여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내 최초로 지열발전 상용화기반 구축에 본격 나설 것”이라며 “신성장동력과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방안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지열발전의 메카로 거듭날 것” 이라고 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