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경북도는 지난해 8월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된 바이오신약 분야와 연계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사업’대해 분야별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사업’은 경북 포항에 구축된 세계 3번째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신약개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향후 1500조의 시장성장이 기대되는 신약시장에서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미래 신산업 추진동력 창출을 위해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녹십자, 신풍제약, 제넥신 등 국내 제약사와 벤처기업, 대학 등 23개 산.학.연.관 대표가 참여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과 산업육성을 위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협의체’를 출범했다.
또 포항시, 제넥신, 포스텍과 200억원의 공동투자로 국내외 제약기업, 연구소, 연구인력 등이 입주할 ‘경북지역개발지원센터’도 건립 중에 있다.
연구시설이 완료되면 포항시 및 포스텍과 협력해 신풍(중국), ASU(Arizona State University)연구소(미국), 제넥신(한국) 등 국내외 기업과 연구소 등 25곳을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신약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신약개발 사업지구로 선정된 포항 경제자유구역 인근 10만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전략을 수립해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약개발사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국내최고연구기관과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용역은 내실화를 위해 현재 구축중인 ‘경북신약개발지원센터’ 입주예정 기업체를 포함한 지역의 산.학.연.관 관계자와 신약개발전문가로 구성된 신약분과위원회가 용역과정에 참여해 현장에서의 경험과 전문성을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신약개발사업 기본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신약개발 연구개발과 비즈니스 사업을 담당할 거점기관으로서 ‘신약개발디자인연구소’구축도 추진한다.
연구소가 구축되면 국내외 신약개발 기업, 대학연구소 및 연구인력 유치 등 인프라 유치와 기술마케팅 등 신약개발 기술사업화를 위한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 외에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막단백질 3차 구조 규명과 구조기반 신약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로 한 신약후보물질 개발사업도 포스텍 주관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150억원의 국비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강창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