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 식적은 먹은 것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몸속에 노폐물이 쌓이는 증상으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뭉쳐서 생기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예전에 없던 배가 나오거나, 속이 더부룩하며 가스가 차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트림이나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의심해볼 수 있다.
이제는 중년 남성들의 상징처럼 되어버린 뱃살은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된다. 특히 잦은 술자리에서 기름진 안주를 먹는 것은 늘어지는 뱃살의 주된 원인이다. 중년 남성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내장지방형 비만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과 같은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 비만은 비습(肥濕·지방과 수분) 혹은 담음(痰飮·기혈의 순환이 잘 되지 않아서 생기는 노폐물)의 과잉 축적으로 보고 있으며, 식적(食積)과 담적(痰積)을 복부비만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때문에 인체의 기 흐름이 막히지 않고 조화롭고 순조롭게 진행되어야 비만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바로 몸 안의 노폐물, 즉 독소인 것이다. 독소야 말로 비만의 가장 큰 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 꾸준히 몸을 움직여 혈행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장이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고 독소를 배출하는 본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복부비만은 잘못된 식습관이 주된 원인으로, 한방에서는 위의 기능이 불균형하거나 장에 숙변이 많이 쌓여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식이요법을 통한 균형 잡힌 식사가 필요하다. 특히 가을에는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인체가 체온유지를 위해 대사작용이 활발해지고 소화기능이 활성화되면서 공복감을 빨리 느끼게 된다. 이에 기름진 음식, 초콜릿, 빵, 과자와 같은 탄수화물을 과하게 섭취하게 되는데, 그보다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제철과일과 채소류, 단백질을 섭취하고 되도록이면 싱겁게 먹도록 한다. 송이버섯은 고단백질, 저칼로리 식품이면서 비타민과 섬유질이 풍부해서 변비 예방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