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한 민족 아픔 치유 근원적 처방”
박근혜 대통령은 7일“통일은 한반도의 비정상을 극복하는 궁극의 길이며 한민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근원적 처방”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제1차 통일준비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내년이면 우리는 분단 70주년을 맞게 되는데 이제 비정상적 분단 상황을 극복하고, 통일을 준비해 가야하는 막중한 과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통일은 단순히 남과 북의 물리적 통합을 넘어서 새로운 한반도의 미래를 설계하고 한민족의 대도약을 이끄는 성장 동력이 되도록 해야 한다"며“분단 70년의 긴 역사에 적응하며 살아온 우리들에게 통일시대로 가는 길은 힘들고 불안한 길이 될 수도 있지만, 함께 지혜를 모으고 희망의 길을 개척해 나간다면 통일시대의 문이 분명히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지난 3월 독일에서 발표한 드레스덴 구상과 그 정신을 어떻게 실천해 나갈지 다양한 방안들에 대해 논의해 주셨으면 한다”며 통일준비와 관련한 구체적인 청사진 마련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를 우선 해결하고,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쳐가는 것은 통일을 이뤄가기 위해 가장 시급하고도 기초적인 준비과정”이라며“내륙철도와 남북철도 연결과 같은 대규모 사회기반 시설과 함께 주거환경 개선이라든가 마을도로 확충과 같은 민생 인프라 구축을 위해 남북한이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무엇보다 통일의 첫 단추를 끼우기 위해서는 한반도의 긴장 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며“문화 예술과 스포츠 분야의 교류 협력 통해 마음의 교류를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비무장지대(DMZ) 평화공원 설립과 관련해서는“그동안 긴장과 대치의 상징 지대였던 DMZ에 평화공원을 조성한다면 세계에 한반도의 통일의 시작을 알리고, 긴장 완화를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고 효과적인 사업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우리 국민 대다수가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큰 목표에는 동의하지만 통일을 이뤄가는 방법에 대해서는 각자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통일정책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도 당부했다.
이어“통일에 대해 우리 국민은 물론이고 주변국들도 막연하게 불안감을 가질 수가 있다”며“그러나 올바른 통일은 모두에게 큰 축복이 될 것이라는 분명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가 꼭 해야 할 일”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한반도의 통일은 동북아에 상당한 경제적 파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세계의 기업들도 주목하게 될 것”이라며“얼마나 많은 새로운 투자 기회와 성장동력을 줄 수 있는지, 이로 인해 얼마나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지 청사진을 만들어 제시할 수 있다면 통일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인식은 더욱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통일은 갈라진 남북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인데 그동안 우리 사회의 통일 논의가 통합을 저해하고 갈등과 분열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았다”며“저는 앞으로 통일을 논의하는 과정 자체가 우리 사회를 통합시키는 촉매제가 돼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