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엔 인권문제 최고 수장이 지난 6일(현지시간) 일본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영구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나비 필레이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이날 성명에서“일본은 이른바‘전시 성노예’들에 대해 포괄적이고 공평하며 영구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면서“제2차 세계대전 종전 수십년이 지난 현재에도 피해자들은 여전히 인권 유린에 대한 사법적 정의 실현과 그에 따른 배상이 요원하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유엔 인권 최고 대표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이 같은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필레이 대표는 자신이 2010년 일본 방문 시 일본 정부에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해 배상을 하라고 촉구했다고 강조하며“현재 이 여성들이 배상도, 권리 회복도 받지 못하고 하나 둘씩 세상을 등지고 있는 건 애석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필레이 대표의 성명 내용은 유엔 인권 메커니즘 차원에서 일본 정부에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포괄적이고 강력한 수준의 메시지로, 일본 정부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의 후안무치한 태도는 이미 국제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백악관과 국무부는 지난달 31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만나 증언을 청취하고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미 국무부는“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1930년대와 1940년대 여성들을 성적인 목적으로 인신매매한 사건이며 일본군의 개입도 사실”이라고 밝히고“개탄스럽고 중대한 인권 위반”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의 군 위안부 강제동원 범죄가 이제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인 여성인권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으며 동맹국인 미국조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좌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엔도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여러 차례 인정한 바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일본 정부와 정치권, 극우세력들이 위안부의 강제동원은 없었다고 생떼를 쓰는 것은 한일 관계의 개선을 더욱 어렵게 할 뿐 아니라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