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로방송인 자니 윤 신임 한국관광공사 감사에 대한 보은인사 논란이 뜨겁다. 관광산업에 대한 경력이 전혀 없는 윤씨가 느닷없이 감사직에 앉았으니 논란이 되고 비판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관광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감사 응모자 중 3명의 후보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했고 윤씨가 최종 선정됐다고 한다.
윤씨는 1992년‘자니 윤 쇼’를 그만둔 뒤 20년이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캠프의 재외국민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게 고작이다.
그런 윤씨가 감사에 임명되자 관광공사 노동조합은‘보은 인사의 끝판왕’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정부가 아직도 공공기관 사장과 상임감사 자리를 정권의 전리품으로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감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이력을 찾아보래야 찾아볼 수 없는 윤씨는 미국 시민권자로 겨우 지난해 한국 국적을 회복한 이중국적자일 뿐이다.
다른것은 다 제쳐두고라도 문제는 공감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벗어났다는 점이다. 정부의 강변대로 윤씨가 적합한 인물이라면 '관피아' 척결과 낙하산 근절도 물 건너갈 수 있다. 20~30년 넘게 전문지식과 경험을 쌓아온 공무원 출신이 윤씨만 못해서 산하기관 취업에 극도로 제한을 받아야 할 정도인가.
물론 윤씨라고 이런 직무를 못할 이유가 없겠지만 그가 감사라는 직무를 수행할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췄다고 생각할 국민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해도 해도 너무한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을 들어도 정부는 할 말이 없을듯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 때 임기중 낙하산 인사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그 약속은 공약(公約)이 아닌 공약(空約)이 되면서 지켜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지금은 박 대통령이 우리 사회의 누적된 부패를 없애기 위해 국가 대개조를 추진하는 시점이다.
보은인사가 국가혁신이라는 시대적 과제보다 중요하다면 공기업 감사 인사 하나로 대통령의 개혁의 진정성까지 의심받아도 할말이 없을 것이다.
정부 고위직의 낙하산 인사를 근절하려면 대통령 측근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의 낙하산 또는 보은 인사부터 끊어야 한다. 자신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서 관피아를 척결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개혁은 고사하고 국민들의 불만과 분노만 쌓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