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반대’민원 해결 4년여 만에 마침표
“피해지역 주민복지사업 투자”한 목소리 4년여 만에 종지부를 찍은 포항공항 확장민원에 이어 포스코가 내놓은 1000억원을 둘러싼 논란이 새롭게 점화되고 있다.
지난 6일 행정협의조정위원회(이하 행조위)의 중재를 통해 국방부와 해군6전단, 포항시, 포스코간 4년여를 끌어온 포항공항 확장관련 민원이 활주로 연장은 취소하고, 높이를 4m 높이는 등 안전운항시설을 확충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포스코는 기 발주된 국방부의 활주로 재포장 2,133m 중 인덕 방향 활주로 900m의 4m 승고 사업과 항공기 안전운항 계기시설 설치사업을 올해 하반기 착공해 내년 12월 말까지 완료하기 위한 3자간(해군6전단, 포항시, 포스코)이행합의서 개정을 이달 중으로 체결할 예정이다.
포항공항 논란에 대한 해법이 결정되자 지역민들을 비롯한 포항지역 정·재계 및 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이제 포스코가 포항공항 확장관련 민원을 위해 내놓은 지역발전기금 1000억원의 향배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포항공항과 포스코 사이에 끼여 포항시에서 최악의 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전락한 동해면과 청림동의 주민들 또한“포스코가 내놓은 1000억원에는 활주로 확장비용과 함께 주변지역의 주민복지개선비용도 포함이 돼 있다”며 이번 행조위의 중재에 따른 지역의 주거환경개선을 기대했다.
지역여론의 중점은 기존 활주로 확장에 따른 부지매입비용, 주민이전비용 등이 모두 사라진 합의안에 따라 당초 1000억원이 예상됐던 공사비용이 670억여원 수준으로 추정돼 300억여원이 넘는 절감액은 동해면과 청림동의 주민복지개선사업에도 당연히 배당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청림동 주민 김모(60)씨는“활주로 확장으로 동해면 주민들만 피해를 입는 것처럼 나타났는데 실제 피해지역은 청림동 일원이다”며“밤낮없이 소음을 내뿜는 해군 6전단과 포항공항, 철강비산먼지로 동네를 뒤덮는 포항제철소 사이에서 이제껏 피해를 입어왔다”고 밝혔다.
이어“최악의 환경으로 가장 낙후된 동네를 만들어 놓은 사정을 뻔히 알면서도 해군6전단과 국방부가 지역발전기금 1000억원을 모두 가져간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300억원의 절감액이 발생한 만큼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해면 주민 장모(52)씨는“어릴 적부터 귀청을 때리는 헬기 이착륙소리와 포항공항의 비행기 소리를 듣고 자라왔다”며“포스코는 1000억원을 활주로확장비용과 함께 지역발전기금으로 내놓았기 때문에 주민들을 무시하지 말고 이에 대한 용처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덧붙여“해군6전단과 국방부가 조금도 양심의 가책이 없이 자기들만을 위해 곶감 빼 먹듯이 1000억원을 꿀꺽하려는 속셈이라면 이를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포항공항의 해법이 발표되자 기존 동해면의 이상훈 시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주민대책위원회에 이어 청림동에서도 대책위원회 설립을 준비하는 등 주민복지사업을 향한 잰 걸음을 보이고 있다.
포항공항 확장관련 민원은 지난해 4월 30일‘전국 50대 갈등 과제’에 포함돼 관리해 오던 것으로 이번 관계기관 합의를 통해 대단위 민원을 해결해 현 정부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규제개혁의 모범사례로 분류될 것으로 보여 전국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