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 1.5~2배 수요격차
경북도내 산재해 있는 복지시설이 도심이 아닌 외곽지역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도내 복지시성 대부분이 도심지역에 밀집해있어 해안 지역과 산간 지역은 더욱 시설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난 것. 12일 경북행복재단이 발간한 ‘GIS를 활용한 사회복지 수요 공급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경북의 도시지역과 농촌부문간의 사회복지시설 수요 격차가 1.5~2배가량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 사회복지대상자 중 기초생활수급자 9만5000명, 장애인 16만7000명, 노인 34만8000명 등 총 61만 명과 도내 사회복지 이용시설 247곳을 분석해 얻은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이들은 전 지역에 산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시설들이 도심지역에 밀집해있으며 해안 지역과 산간 지역은 더욱 시설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포항시의 경우 사회복지시설은 물론이고 기초생활 수급자 관련 시설의 경우도 시를 벗어난 외곽지역에는 전무한 상태며, 장애인 관련 시설도 북부지역 일부에만 설치되어 해변을 중심으로 한 동해면, 장기면 등 동남부지역은 서비스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포항시의 민선6기 비전을 살펴보면 ‘행복도시 포항’을 위한 복지허브화 추진, 희망복지지원단 기능강화, 복지시설 확충, 장애유형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의 실천공약이 제시되어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오중기 경북도당 공동위원장은 13일 언론사에 제공한 논평에서 이같이 밝히고 “사회복지시설이 미미한 지역에 대해 관심을 갖고 도심지역과의 복지서비스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해줄 것”을 포항시에 당부하며, “복지사각 해소를 위한 촘촘한 현장그물 복지가 새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구체적인 계획과 예산편성을 통하여 실행되어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