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전사인자3 단백질, 유전자 발현 저하
▲ © 운영자
국내 연구진이 술을 과다하게 마실 때 당뇨병 발생을 촉진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질병관리본부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과음을 할 때 '활성전사인자3(ATF3)'라는 단백질이 당 분해 효소(GCK) 유전자 발현을 저하시켜 당뇨병 발생이 촉진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당뇨병은 모든 만성질환 합병증 발생의 주요 원인질환으로 몸속에서 당대사 기능이 떨어져 혈액 속의 당을 제대로 분해시키지 못할 때 발생한다.
알코올은 생활습관적 위험인자로 임상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등 대부분의 만성질환 발생의 주요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알코올 섭취가 만성질환 발생에 미치는 정확한 효과 및 원인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과음으로 인해 증가하는 ATF3 단백질을 처음 발견, 증가된 ATF3가 당 분해 효소(GCK) 유전자억제에 직접 관여해 당뇨병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김 박사는 "향후 연구결과를 통해 알코올에 의한 당뇨병 발생 위험을 제어할 수 있는 요인으로 ATF3의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이나 ATF3의 생체 내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치료 기술의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알코올 노출 당뇨병 임상환자시료 및 당뇨모델 쥐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결과는 세포생물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생물생화학지(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 게재될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