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시민문화복지센터 활용 제시
구미경실련은“경찰서 이전부지 논란과 관련해 구미 광평동 남산(새마을로변) 시·국유지 7만4148㎡와 교환하고, 경찰서를 시민문화복지센터로 활용하자”고 제시했다.
국립대인 금오공대가 2005년 1월 양호동 새 캠퍼스로 이전한 뒤 신평동 옛 금오공대 공터 9만432㎡ 부지는 국유재산으로 남아 있다.
구미시는 2011년 3만5000㎡를 사들여 모바일융합기술센터, 구미시종합비즈니스지원센터, IT의료융합기술센터, 3D융합기술센터를 구축하는 등 모두 3604억원의 국책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구미경실련은 광평동 산 42번지 부근이 신평동 양지공원 뒷동산(3만4860㎡ )보다 2.13배가 크고, 부지 매입비가 저렴한 점, 탁월한 조망권, 경부고속도로 나들목이 인접한 점을 들어 이곳이 경찰서 부지로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재의 경찰서 위치와 10분 이내의 용이한 접근성과 양지공원 뒷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한 도심권이라는 잇점이 있어 이전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구미경실련은 기존 경찰서를 시민문화복지센터로 활용하는 방안과 관련, 시유지와 맞교환한 충남 아산경찰서를 시민문화 복지센터로 활용한 사례를 들었다.
구미경실련은 또 지난해 10월 경찰서 이전 논란이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국회의원, 구미시장, 금오공대 총장, 구미경찰서장이 참여하는 기관장 협의체를 구성키로 했으나, 10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회의소집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달 28일 금오공대, 경운대, 구미대, 폴리텍 대학 등 옛 금오공대 캠퍼스로의 경찰서 이전을 반대하는 4개 대학 산학협력단장이 남유진 시장 면담을 요청했으나 무산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구미경실련은 운영주관을 맡은 구미시가 협의체를 소집하고 경찰서 부지 및 건물과 교환할 시유지 확보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나영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