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6일 변호사 활동으로 인한 고수익과 전관예우 논란과 관련해 늘어난 재산 11억원을 사회에 환원키로 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옥의 티를 털어버리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환영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문제의 핵심은 전관예우로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 위한 정치적 기부"라며 강력 비판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안 내정자는 늘어난 재산 전액을 사회에 환원하고, 고액 수임으로 얻은 대가를 모두 반납했다"며 "국회 인사청문회에 앞서, 옥의 티를 스스로 털어버리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여겨진다"고 환영했다.
그는 이어 "안 후보자에 대한 검증은 공직사회를 혁신해 안전 대한민국의 새로운 틀을 짜는데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점검하는 방향으로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며 "전관예우 논란은 대법관 출신으로서는 걸맞은 액수의 수임일지라도 공직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춰 처신에 신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되새기게 했다"고 밝혔다.
반면 안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위한 새정치연합 사전검증위원회 위원인 김기식 의원은 논평을 통해 "사안의 본질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며 "전직 대법관으로서 전관예우를 통해 과도하게 벌어들인 수익을 사회에 환원한다고 해서 총리후보자로서의 전관예우 문제에 대한 검증을 피할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안 후보자는 이미 작년 5개월 동안의 변호사 활동 수익 16억 중 4억여 원을 사회에 기부했다고 밝혔고, 오늘 밝힌 기부 중 3억원은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퇴 의사를 밝힌 뒤에 기부한 것"이라며 "총리 지명을 받기 위한 정치적 기부라는 의혹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총리 지명을 받기 위해 3억을 기부한 뒤에 총리 지명을 받은 후 총리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 위해 또다시 11억원을 기부하는 것은 정치적 기부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런 기부가 전관예우에 면죄부를 줄 수 있는 것인지 우리 국민들께서 판단해 줄 것"이라고 몰아 붙였다.
한편 그는 "안 후보자는 변호사 개업 이후 사건 수임에 있어서 떳떳하다고 밝혔는데 사건 수임의 구체적인 내역과 사건별 수임액, 특히 자문 등 비송무계약 사건의 수임 내역과 수입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며 "새정치연합은 안 후보자의 전관예우 논란과 재산형성 과정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