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읍면동단위 ‘추진… ’사각지대 발굴·지원
▲ © 이점식
포항시가 민선6기 공약사항인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읍면동 단위의 그물망 복지행정 추진 등으로 ‘포항형 창조 복지도시’ 구현에 나선다.
이를 위해 시는 올해 중점 추진사항인 동 복지허브화를 위한 주민센터의 일반행정업무 이관 및 제증명 사무 감축을 추진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공유재산 대부업무를 비롯한 주민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주민센터의 일반행정업무 10개를 본청 및 구청으로 이관하고, 주민센터의 단순제증명 사무 감축을 위해 상반기 내에 무인민원발급기 추가(4대)로 설치하기로 했다
시는 주민센터의 복지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복지(읍·면)동장제와 복지코디네이터를 이미 시행한 바 있다.
복지(읍·면)동장은 기존 업무에 관할 구역 복지취약계층에 대한 순찰과 복지자원 발굴 업무를 부여해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지역사회 내의 민간자원을 발굴·후원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복지코디네이터는 읍면동에 배치된 공무원이 민원인의 1회 방문만으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말한다
현재 포항시는 900여명의 통(이)장이 읍면동 어려운 이웃 발굴이나 서비스연계, 명절 후원품 전달 등 복지임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시는 통(이)장들이 아파트 자치회장, 경비, 수도검침원 등과 연계해 위험군을 발굴해 현장에서 보다 더 깊이 있는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전파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해 하반기 취약계층 2,700여 세대, 4,500여명의 대상자를 발굴해 기초수급 신청, 긴급복지지원 등 공적지원과 공동모금회, 종합복지관 연계 등 민간 후원을 지원했다.
이점식 복지환경국장은 1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는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동(洞) 주민센터 복지허브화를 중점 추진하는 한편, 지난해 하반기 시행한 각종 복지시책의 내실화를 기해 시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상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