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전망치 0.2%p↓
한국개발연구원(KDI)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013년 하반기 전망에 비해 0.2% 포인트 가량 하향 조정했다. KDI는 27일 발표한 2014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2014년 경제성장률을 3.7%로 예상했다. KDI는 2013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도 2014년 경제성장률을 3.7%로 예상했다. 하지만 올해부터 GDP 집계 방식이 바뀌면서 0.2%포인트 가량 상향 조정 효과가 생긴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0.2%포인트 가량 하향 조정된 셈이다.
소비 부진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KDI는 지난해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2014년 총소비와 민간소비 증가율을 각각 3.5%와 3.6%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번 전망에서 2014년 총소비와 민간소비 증가율은 2.8%와 2.7%로 내려앉았다.
KDI는“내수가 개선되고는 있지만 회복세는 미약한 수준”이라며 “국내총소득(GDI)이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는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는 데 머물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세월호 참사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2분기 지표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KDI 조동철 거시경제팀장은“(세월호 사고로 인한) 일부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며“민간소비 쪽에서 (전망치에) 가장 많은 수정이 이뤄졌는데 세월호 참사 뿐 아니라 1분기 실적치 자체가 낮아진 것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KDI는 현재 한국 경제가 완만하게 회복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KDI는“우리 경제는 내수가 완만하게 회복되는 가운데 수출 증가세도 확대되면서 2014년과 2015년 각가 3.7%와 3.8%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설비투자는 대내외 경기가 개선됨에 따라 2012~2013년의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 2014년과 2015년 각각 8.0%와 6.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과 수입은 각각 6.1%와 5.8%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상수지는 지난해(799억 달러)와 비슷한 78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뒤 2015년에는 내수 개선, 원화 강세 효과 등으로 인해 650억 달러 내외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