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결혼비용은 우리나라 5,60대가 노후생활을 위해 준비해 놓은 자금을 빼먹는 주요인이 되었다.
더우기 5060세대는 부모에게 직접 경험했듯 스스로 ‘자녀 결혼은 부모의 행사’라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론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 50대 이상 부모 300명 중 응답자의 75.3%가 “자녀의 결혼비용을 지원했거나 지원할 예정”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지원 이유로는 수억원에 달하는 결혼비용을 자녀가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문제도 작용하지만, 대부분 “결혼비용 지원이 부모의 의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65.3%로 가장 많다는 것이다.
한 웨딩업체의조사 결과 신혼가구당 주택비용은 평균 1억7000만원. 서울과 수도권은 1억8000만원이고 강원도·영남·충청·호남 등은 1억5000만원대라고 한다.
사회생활 5~6년차인 신혼부부의 저축액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결혼비용은 결국 부모 몫으로 전가된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 부모 10명 중 3명은 “지원할 여력이 없을 경우 빚을 내서라도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자녀세대 역시 부모 도움 없이 결혼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2030세대 273명 중 절반 이상(55.4%)이 “부모에게 결혼비용을 지원받겠다”는 답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자녀 결혼비용을 대기 위해 대출을 받는 부모도 늘었다.
은퇴자금을 마련하기는커녕 짐을 더하고 있는 셈이다.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50대 이상의 근로자생활안정자금 중 혼례비 융자건수는 2012년 310건에서 2014년 563건으로 2배 가까이로 늘었다고 한다.
대출액도 21억1900만원에서 2.5배인 54억5780만원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반퇴세대가 최소한의 노후자금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 결혼에 따른 출혈이 크면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경고한다.
과거에는 자산을 축적한 부모가 자녀 결혼비용을 대주고 자녀가 은퇴한 부모를 부양하는 ‘암묵적 신사협정’이 있었지만 수명이 길어지고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는 미래에는 실현 가능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