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북의 소리..
사회

경북의 소리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3/10 15:22 수정 2015.03.10 15:22
약속을 지키라!
▲     © 허대만  너무나 당연한 말이라 약속을 지키라는 주장은 새삼스럽다.
  지난 2.8 전당대회에서도 풍성한 공약의 성찬이 있었다.
  약속을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그것이 다 지켜질 것으로 믿지는 않았다.
  어떤 공약을 하는지 관심조차 없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였다.
  전당대회 이후 공교롭게도 선관위가 정치관계법률 개정의견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의견의 핵심은 대부분 우리당 전당대회 과정에서 공약의 형식으로 당원들에게 약속된 내용이었다.
  석패율, 권역별 비례대표제, 지구당 부활 등.
  선관위의 정치관계법률 개정의견이 제출되자 온도차는 있었지만 우리당은 물론이고 새누리당도 환영하였다.
  영남지역 우리당 시도당 위원장들은 연대기구까지 만들어 선관위 의견에 공감을 표시하고 적극 추진을 다짐하였다.
  문재인 대표를 공동으로 면담하고 석패율과 분권형 정당추진을 요청하였다. 이 또한 새삼스러운 일이다.
  문재인 대표는 이미 전대과정에서 귀에 못이 박히도록 권역별 비례대표제, 석패율, 분권형 정당을 추진하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석패율제도를 추진하겠다는 약속은 당헌부칙에 명시하기까지 하였다.
  이 정도 같으면 또 다시 당대표에게 추진을 요구하거나 다짐을 받을 필요도 없다.
  그저 약속을 지키는지 지켜보기만 하면 될 일이다.
  5개 영남지역 시도당 위원장들이 새삼스레 당대표를 면담하면서까지 이런 요구를 한 것은 모두 다 사연이 있다.
  지금까지 전당대회에서 지도부에 선출된 분들이 얼마나 식언과 거짓을 되풀이 했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전대에 출마한 후보들의 공통공약을 사전에 당헌개정안에 반영시키자는 요구도 있었고,  따지고 보면 워낙 되풀이된 빈말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도 하자는 차원이었다.
  실제로 과거 7.6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정세균 대표시절에 당규에 명시되었던 취약지역 비례대표 배정규정은 언제 사라졌는지도 모른 채 흐지부지 된 적도 있다.
  이번에는 당헌부칙에 명시한 내용마저 불안해서 별도로 당대표 면담까지 추진한 것이다.
  얼마나 심각한 불신이 우리 내부에 가득 차 있는가.
  무신불립이라 했다.
  당헌에 명시한 내용조차 믿을 수 없는 이런 상태에서 어찌 새정치, 정권교체를 기대할 수 있을까.
  계파갈등의 원인을 제거하겠다고 총선 일년전에 공천룰을 확정하겠다고 약속했다.
  총선이 일년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얼마 남지 않았다.
  어떤 준비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보궐선거를 비롯한 많은 난관이 있다.
  약속을 지키기 힘든 이유는 사방에 널려 있다.
  여야의 합의가 필요한 문제도 많다.
  아무것도 하지 못해도 내세울 핑계는 많기만 하다.
  지역의 많은 당원들과 함께 약속을 지키는지 두고볼 수 있을 뿐이다.
  늘 그랬던 것처럼.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