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사정 한파에 떠는 대기업..
사회

사정 한파에 떠는 대기업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3/18 18:01 수정 2015.03.18 18:01
  검찰은 포스코를 시작으로 기업들의 재계를 향한 전방위 사정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들은 정부가 임금인상과 일자리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일이 터지자 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더우기 경영 상황도 나쁜데 기업에 대한 압박이 이어지면 국내외를 비롯한 경영 전반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예전처럼 경제검찰인 공정거래위원회나 국세청을 동원해 기업을 전방위로 압박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입장이다.
  과거 정부에서도 기업을 압박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써 왔듯이 재계는 정부가 밑그림을 갖고 접근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고 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한 고위 관계자는 17일 "문제가 있는 부분은 사정 당국이 파헤치는 게 맞지만 수사나 조사가 길어지면 해당 기업이나 같은 업종에 있는 회사는 큰 타격을 입는다"며 "최대한 빨리 끝내 불확실성을 줄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기름값을 내리기 위해 정유사에 담합 혐의를 씌우면서 업황이 크게 위축됐고 지금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동반성장을 해야 한다며 대형마트에 가한 압력이나 건설사의 4대강 공사 담합 제재 같은 정권 차원의 압박 사례는 무수히 많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임금인상처럼 정부의 정책 협조 요구에 기업들이 움직이지 않자 정부가 본보기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고 한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지 특정 목적을 갖고 있다거나 기업을 옥죄려는 의도가 있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문제가 있으니 수사하고 조사하는 것이지 문제가 없는데 무슨 수로 정부가 사건을 만들어 낼 수 있겠느냐"고 밝혔다.
  하지만 업체들의 입장에서 볼 때 이 말을 곧이곧대로 들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수사선에 올랐다는 일부 기업은 1~2년 전부터 검찰이 해당 내용을 알고 있던 사안으로 알려졌다. 한때 내사종결을 검토했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였지만 최근에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예전부터 알고 있던 내용을 최근에 외부에 흘리기 시작한다는 것은 재계를 향한 일종의 경고 아니겠느냐"며 "최근 정부의 정책 협조 요구에 대기업들이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것처럼 비쳤던 것 같다"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