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증가하는 귀농,귀촌가구를 위한 정책지원..
사회

증가하는 귀농,귀촌가구를 위한 정책지원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3/19 17:22 수정 2015.03.19 17:22
  지난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던 귀농·귀촌 가구는 2011년 1만 가구를 처음으로 넘어선 이후 2012년 2만7천8가구를 기록하는 등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1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4만4천586가구로 집계됐다.이는 종전의 사상 최대였던 전년의 3만2천424가구보다 37.5%로 늘어난 것이다.
  귀촌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비중은 50대가 29.6%로 가장 많았고 40대 22.0%, 30대 이하 19.6%, 60대 19.1%, 70대 이상 9.7%였다. 40∼50대 비중이 51.6%에 달한 것으로 귀촌 가구가 수도권 근처의 생활 여건이 좋은 지역과 자연 경관이 좋은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역귀농·귀촌가구의 경우 귀농·귀촌 2년~3년 경과 후에도 98%가 농촌생활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이주지역에서 귀농·귀촌 유지하는 비율은 89.3%, 그중 8.8%는 다른 농촌 지역으로 재이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로의 복귀한 가구도 2%로 가량 됀다고 설명했다. 사유는 농업노동의 어려움, 지역주민과의 갈등, 외로움·고립감, 자녀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전원생활을 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 귀촌·귀농 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정부는 기존 귀농인 위주 정책에서 귀촌인 정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지원을 실시, 증가세를 확대해 나간다고 한다.
  한편 농식품부는 귀농·귀촌가구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각종 저해 규제를 완화하고, 정책적 지원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존 귀농인 위주에서 귀촌인 이주로 정책지원을 강화하고, 40대 이하 귀촌인의 정착을 촉진할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연계에 초점을 둘 계획이라고 한다. 또한 귀농·귀촌인이 조합을 설립해 신규 마을 조성할 경우, 입지 규제 및 조합설립 요건을 완화해 소규모 마을 조성이 가능토록 기존 조합원 설립 최소인원을 20명에서 5명으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정보통신기술(ICT)기반 문화·교육·보건 서비스를 농촌마을에 연계하는 창조마을을 조성하는 등 정주여건 개선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