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의약품 부작용 보고건수가 전년에 이어 18만여건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의약전문가, 일반 사용자 등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한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는 18만3554건으로 조사됐다.
최근 보고건수는 2011년 7만4657건, 2012년 9만2375건, 2013년 18만3260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식약처는 지난해 안전센터가 5곳이 신설돼 정보 수집이 증가했고 국민인식 개선과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홍보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효능군 별로 분류해보면 상위 5개의 보고건수가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순위는 2013년과 동일했다.
항악성종양제(항암제)가 2만9577건(16.1%)으로 가장 많았고, 해열진통소염제 2만2912건(12.5%), X선 조영제 1만4572건(7.9%), 항생제 1만3286건(7.2%), 합성마약 1만1365건(6.2%) 등의 순이었다.
증상별 보고건수는 오심(헛구역질) 2만8141건(15.3%), 가려움증 1만6868건(9.2%), 두드러기 1만5014건(8.2%), 구토 1만4929(8.1%), 어지러움 1만4256건(7.8%), 발진 1만2081건(6.6%), 설사 6768건(3.7%) 등의 순으로 빈번했다.
식약처는 지난해 수집한 국내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바탕으로 조영제인 '요오딕사놀' 등 14개 성분제제(298개 제품)에 대해 허가사항 변경 지시와 지속적 모니터링 등의 선제적 안전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안전성 정보 보고 동향 자료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홈페이지(
www.drugsafe.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