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민 민심 보듬기
정부가 이번에 확정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의 각종 사업 중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은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이 포함됐다.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북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긴급자금을 지원하고,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을 건립하는 등 별도 예산을 배정해 피해 회복을 돕기로 했다. 4일 임시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추경안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에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하면서 대구·경북지역 만을 위한 재원 6200억원을 따로 배정해 긴급 투입한다.
전국 코로나19 확진자는 3일 0시 기준 4812명으로 이중 대구·경북지역에서만 428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전체 확진자 수의 90%(89%)에 육박한다. 이로 인해 지역경제가 멈춰 서며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안일환 기재부 예산실장은 "TK지역이 특별히 어렵기 때문에 칸막이를 치고 배정을 더 많이 하는 등 추경 전체 재원 기준으로 6209억원 정도"라며 "일부 보증으로 커지는 부분과 자금공급까지 합치면 긴급자금 기준으로는 1조4000억원 정도 규모의 별도 조치를 강구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지원으로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한다. 중소기업 경영안정에 600억원, 시설투자에 1000억원을 긴급융자 지원하고, 소상공인 경영안정을 위해서도 3000억원을 1%대 초저금리로 대출한다. 여기에 신·기보(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의 특례보증도 9000억원을 포함하면 1조4000억원 규모다.
대구·경북지역 5400개 피해점포의 정상화를 위해 120억원을 지원하고, 7500개 점포는 온라인으로 판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60억원을 투입한다.
코로나19 사태로 문을 닫은 전통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공동 마케팅하는 바우처를 전국 531개 시장 중 대구·경북지역 281개 전 시장에 지원하기로 했다. 여기에 지역고용안정을 위해 특별 지원하는 1000억원 중 대구·경북지역에 400억원을 집중한다.
지역특화산업 육성 사업에 쓰일 318억원 전액은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R&D, 맞춤형 바우처 등을 지원하는데 사용한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