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보호수에 이야기 입혀 관광자원 만든다..
경북

보호수에 이야기 입혀 관광자원 만든다

이종팔 기자 jebo24@naver.com 입력 2020/04/23 19:06 수정 2020.04.23 19:07
경북도, 2천여본 스토리텔링 발굴 용역 착수
'포항 내연산 비하대 겸재송'(정선의 고사의송관란도 부채그림).
'포항 내연산 비하대 겸재송'(정선의 고사의송관란도 부채그림).

경북도가 도내 소재하고 있는 보호수에 얽힌 전설, 민담, 설화 등을 바탕으로 지역문화, 관광자원과 연계한 독창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보호수를 새로운 문화·관광콘텐츠로 개발한다는 계획으로 ‘경북의 보호수 스토리텔링 발굴 용역’에 착수했다.
보호수는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노목, 거목, 희귀목으로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나무로, 수목의 분류학적, 유전학적, 육종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우리민족과 함께해온 역사적, 문화적,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경북도내에는 소나무, 느티나무, 버드나무, 은행나무 등 59개 수종, 2,033본이 지정·관리되고 있다.


이번 용역은 보호수의 기초자료 수집 및 조사, 선별, 평가 과정 등을 통해 이야기가 있는 대표나무 300본을 선정한다. 
수목에 대한 따분하고 단순한 정보전달이 아닌 누구나 읽기 쉽고, 대중적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를 만들어 경북도 보호수만의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과 문화·관광콘텐츠 자원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경북지역의 전설이 있는 대표적인 보호수로는 신라 의상대사(625년~702년)가 꽂은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현재까지 살고 있다는 영주 부석사 조사당 선비화(골담초)와,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1676년~1759년)의 ‘고사의송관란도(高士倚松觀瀾圖)’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포항 내연산 겸재송(소나무) 등이 있다.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현재까지의 정책은 보호수가 가진 다양한 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보호, 보전 정책이 주를 이루었다”며 “이번 용역을 통해 역사·문화적 가치 있는 보호수를 새로운 문화·관광자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