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문제로 고민에 빠졌다.
기존 업체와 체결한 음식물류 폐기물의 수집과 운반, 처리 계약기간이 오는 6월 30일 만료되지만 대체시설 건설은 아직 후보지 물색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빨라도 2025년은 돼야 준공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기존 업체와 계약을 다시 연장하면 문제가 없지만, 악취 등으로 주민민원에 대해 시가 다른 곳으로 시설을 옮기겠다고 약속했고 이를 이행하려면 비용을 더 들여 외지 업체에게 맡겨야 하는 실정이어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경북 포항시는 64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오는 6월말까지 후보지 선정 절차를 마치고 올해 중 설계를 완료한 뒤 오는 2025년께 완공을 목표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을 새로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는 6월말이면 기존 처리업체인 영산만산업과 계약이 만료돼 새로 시설이 완료되는 5여년 동안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점이다.
물론 기존 영산만산업과의 계약을 연장하면 당장 시민불편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망되지만 인근 오천, 청림 주민들이 계약연장 반대를 요구하고 있어 어떻게 주민들을 이해시킬지가 숙제다.
더구나 시는 주민들에게 수년전부터 시설이전을 약속한 상태여서 기존 업체와 계약을 연장할 경우 행정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게 돼, 새 시설 공모를 실시했다.
이에 대해 기존 영산만산업도 참여해 107억원으로 우선사업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6월말 이후에는 관련 법원판결로 시유지 사용기간이 만료돼 사실상 7월부터는 부지가 없어 자격이 상실될 실정이다.
결국 7월부터는 자격상실로 탈락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면, 외지업체인 그린웨이 측이 119억원을 제시해 2위이지만, 영산만산업이 자격상실로 탈락될 경우 최종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외지업체가 선정되면 연간 12억원의 예산이 더 늘어나게 되고 기존 업체에서 일하던 직원들의 고용문제도 발생하게 된다는 점 때문에 시로서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법원이 지난 2011년 영산만산업의 시유지 사용기간을 2020년까지로 결정한 이후 9년동안이나 대체시설을 마련하지 못한 점은 시의 잘못이 크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물론 관련 부지를 선정하려 했지만 주민 반대와 민원에 부딪혀 왔다는 점을 고려한다고해도 시가 대체시설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책임은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포항시 신정혁 자원순환과장은 “인근주민들의 민원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전하며 “주민들과 소통해 시민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