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의 절반 이상이 건설업 종사자였던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3/4분기에도 포항과 영천 등지에서 건설 근로자가 숨진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특히 포항의 경우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이 발주해 영일만항에서 공사가 이뤄지던 현장에서 첫 날 배치된 근로자가 숨져 공사 업체와 관계자가 검찰에 송치됐는데, 발주청인 포항해수청의 공사 안전관리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최근 3년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건설업에서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건설업 1,312명(51.0%), 제조업 673명(26.1%), 서비스업 등의 기타업종 590명(22.9%)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은 건설업에서 발생한 주요 발생형태는 ‘떨어짐’ 사고로, 연도와 관계없이 전체 발생형태의 약 60%를 차지했다.
공사 종류별로는 ‘건축공사’에서 약 60%(789명)로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사금액별로는 ‘20억 미만 공사’가 약 70%(892명)를 차지했다.
사고사망자가 발생한 건설 현장은 약 30%(404건)가 ‘방호장치 미설치 또는 불량’으로 파악됐으며, 약 17%(232건)는 추락방지조치를 하지 않고 작업하는 등 ‘작업수행 절차가 부적절’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설치된 방호장치는 작업발판(13.7%), 안전난간(11.7%), 추락방지망(10.1%) 순으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분석자료는 안전보건공단 연구원이 데이터 중심으로 산재 사망사고 원인을 밝히고 예방대책을 세우기 위해 최근 3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했다.
재해발생일 기준 3년간(2016년~2018년) 중대재해조사보고서 2,999건 중 요양 및 일반재해 등을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보고서의 업무상 사고사망자 2,5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보고서는 건설업을 비롯해 제조업 등 내용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중대재해 유형별 현황 분석 연구」제목으로 안전보건공단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재철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재래형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라며, “공단은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건설 현장에 패트롤 방문을 통해 안전을 점검하고 재정지원을 병행하는 등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3/4분기 중 경북 도내 건설현장 사망사고 현황을 보면, 7월 20일 울릉도동항 방파제 보수보강공사와 9월 11일 중앙선 도담~영천 복선전철 제12공구 노반시설 기타공사 등에서 각각 근로자 1명씩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울릉도동항 방파제 보수보강공사 사고현장은 TTP를 만들던 포항 영일만항으로, 이와 관련 대구지방고용노동청 포항지청은 원청과 하청업체 각각 법인과 현장책임자 등 총 4명을 검찰에 송치했다.
숨진 근로자는 50대 초반으로 현장배치된 첫 날 사고를 당했다.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구역이 미확보됐고 현장에 전담신호수 등도 지정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업체는 물론, 포항해수청의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