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임명동의안, 여당 단독 처리할까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황교안 국무총리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황 후보자가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심사경과보고서가 지난 12일 여당 단독으로 채택된 가운데, 임명동의안의 본회의 처리도 여당 단독으로 이뤄질지 주목된다.
야당은 황 후보자는 총리로 부적격하다며 인준 절차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상태이기 때문이다.
현재 새누리당은 18일 본회의 전인 15~16일 양일 중 하루 본회의를 열어 임명동의안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정부질문 첫날인 18일 신임 총리를 출석시켜야 하고, 신임 총리에게 하루 정도의 대정부질문 준비 기간을 주겠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이를 위해 계속 야당을 설득할 예정이지만 합의가 안 될 경우 국회의장에게 본회의 소집을 요청, 단독으로라도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절차를 진행할 방침도 세우고 있다.
새누리당은 국회 재적의원 298명 중 160명을 차지하고 있어 소속 의원들이 모두 본회의에 출석할 경우 임명동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인사청문특위에서 여당 단독으로 심사경과보고서를 채택한 직후 당 소속 의원들에게 "임명동의안의 본회의 처리는 가능하면 여야 합의로 할 수 있도록 주말동안 계속 야당을 설득하겠다만, 합의가 안 될 경우 국회의장과 협의를 통해 인준 절차를 진행해야 할 수도 있다"며 다음주 중 국외 활동 자제를 당부한 바 있다.
새누리당의 이 같은 단독 처리 방침에 대해 정의화 국회의장 측은 "여야 합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내에선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관련, 국정 공백이 이어지는 데 대한 부담도 있는 만큼 정 의장이 '결단'을 내릴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도 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 협조는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정부질문 첫날인 18일 이전까지는 본회의 소집에 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대정부질문에서 최경환 총리대행보다는 신임 총리를 상대로 질문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인식도 있는 것으로 전해져, 여야 원내지도부 간 협의에서 강경했던 새정치연합이 입장을 선회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