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추모도서 ‘박태준 생각’ 출간한다..
문화

추모도서 ‘박태준 생각’ 출간한다

뉴시스 기자 입력 2021/10/13 18:33 수정 2021.10.13 18:34
 포항지역사회연구소 제작

 

 “철강산업을 일으켜 국가건설의 초석이 되겠다. 그것이 내가 이 땅에 태어난 뜻이다.”


“우리 세대는 다음 세대를 위해 순교자적으로 희생하는 세대다.”
“교육이 일본에 앞서야 일본을 이길 수 있다.”


고(故) 박태준(1927∼2011) 포스코 창업회장의 어록에 나오는 말이다.


포항지역사회연구소(대표 이재섭)가 박태준 서거 10주기를 앞두고 추모도서 <박태준 생각>을 펴냈다. 지금 여기의 우리는 왜 ‘박태준 생각’을 생각해야 하고 왜 ‘박태준 생각’과 대화해야 할까. 편찬위원들은 “박태준 선생이 남긴 공적의 탑은 생각과 말과 행동의 삼일치가 만든 위업이다. 그러나 공적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그것을 성취하게 만들었던 선생의 정신, 고뇌, 투쟁이다. 이 무형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봐야 하는데, 그것을 어떤 실체로 세우려는 출간 취지에 그 의미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또 포사연은 “지리적으로든 시대적으로든 가까운 거리에서 박태준 선생에 대한 정당한 칭송과 합당한 비판에 게으르지 않았던 우리가 이렇게 어지러운 세상에서 선생의 10주기를 기리는 일들에 나서는 것이 마땅한 도리이고 예의인데, 물론 <박태준 생각>이 전국적으로 널리 읽히게 되는 노력을 기울이겠지만, 지난 9월 14일부터 내년 1월 9일까지 열리는 포항시립미술관의 〈신화를 담다―꺼지지 않는 불꽃〉 전시를 찾아오는 분들이 이 책을 기념으로 오래 간직할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태준 생각>은 3부로 짜였다. 1부 ‘사진과 행적으로 만나는 박태준의 생애와 정신’은 출생부터 서거까지 일대기 전체를 66개 소제목으로 나누고 관련 사진 103장과 함께 행적과 어록을 간략히 간추려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이대환 작가의 <박태준 평전>에서 해당 시기에 대한 비평적 관찰을 발췌해 곁들였다.


2부 ‘황혼기의 연설에서 박태준정신을 되새기다’에는 김호길 포스텍 총장 10주기 추모사, 한일국교정상화 40주년 국제학술대회 기조연설, 국립하노이대학 특별강연, 그리고 마지막 연설로 남은 ‘퇴직 직원들과 19년 만의 재회’ 인사말 등을 실었다. ‘박태준 생각’을 따라가면서 ‘박태준 생각’과 진지하게 교감할 수 있는 기회이다.


3부 ‘학자의 눈, 작가의 눈으로 박태준정신을 탐구하다’에서는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사회학)의 논문 ‘특수성으로서의 태준이즘 연구’와 이대환 작가의 에세이 ‘천하위공의 길, 박태준의 길’을 통해 박태준정신의 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