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복심(腹心)’이라는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8일 물러나면서 6·4 지방선거로 미뤄졌던 새총리에 누가 지명될지 관심이다.
박 대통령의 금명간 후임총리를 지명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개혁과 적폐척결이라는 화두에 모든 것을 걸다시피 했던 안대희 후보자의 낙마로 도덕성 문제를 부각시켰다.새 총리 인선에 눈길이 쏠리고 있는 것은 역할에 더해지고 있는 상징성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박근혜 정부 1기내각은 사실상 기능정지 상태에 놓여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 대통령은 ‘국가 개혁에 적임이고 국민이 요구하는 분’을 총리 지명의 기준으로 스스로 제시했다. 대통령 스스로 제시한 이 기준에 부합하는 개혁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적임자를 찾아야 국가 대개조를 향한 대장정의 첫걸음이 가벼워진다.
제2의 안대희 사태가 있어선 절대 안 된다.
총리가 어떤 인물이냐에 따라서 내각의 성격도 정해지고 박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국정운영 구상의 방향성도 가늠할 수 있게된다는 점은 거론할 필요조차 없다.
이와함께 세월호 참사배경으로 ‘관피아’문제가 대두되면서 국가개조 수준의 사회적 적폐척결에 시대적 과제수준의 무게가 실렸다.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쇄신 문제와 함께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도 비판의 대상이 되면서 국정 책임을 나눠질 책임총리제 실현 문제도 화두로 등장했다.
관피아를 척결하고 국가를 개조하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는 지방선거가 끝나면 박 대통령을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만나지 못할 이유도 없다.
야당 의견도 들어봐야 새 인물이 보인다.이번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은 여야 누구편도 아닌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나라를 이끌어가라는 명령이었다.
정부와 사회 시스템을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다면 세월호 이후 첫 총리로서의 상징성을 감당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얘기다.
박근혜정부 2기내각의 첫 단추가 잘 꿰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