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시 ‘인구감소’ 대응책 없나…..
경북

포항시 ‘인구감소’ 대응책 없나…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2/07/06 18:26 수정 2022.07.06 18:28
주소이전지원금 56억 들였지만… 심리적 제한선 50만 붕괴
시, 기업·대규모 사업 유치 등 전방위 대책마련 서둘러야
정부도 제2의 공공기관 지방이전·활성화 대책 추진해야

포항시 인구 50만이 결국 무너졌다.
7년간 매년 3600명씩 감소해 지난 6월 심리적 최저 제한선인 50만이 붕괴되면서 49만명 대로 떨어진 것인데, 포항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난해 수십억원을 들여 주소이전지원금까지 지급했지만 효과는 미미했고 결국 올해는 시행을 중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같은 인구감소를 막을 대책이 마땅히 없다는 것이다. 시는 청년일자리 창출 등 투자기업 유치 및 기업지원을 통해 인구증가를 꾀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구호에만 그칠 뿐 실제 결과는 미미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포항시의 2022년 6월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을 보면, 인구는 남자 25만3278명, 여자 24만6576명 등 총 49만9854명이다.
이같이 포항시 인구가 5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인구가 50만 이하로 지속될 경우 현재 포항시 관내 남.북구청 등이 통폐합 될 수도 있어 시에도 비상이 걸렸다.
유예기간이 2년이고 행안부 심사도 거쳐야 해 당장 남.북구청이 없어지거나 통폐합되지는 않겠지만 이럴 경우 공무원 수도 감축될 수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항시 인구는 지난 2015년 11월 52만5278명을 정점으로 매년 평균 3600여명씩 감소해 왔다.
2016년 6월 52만3084명, 2017년 6월 52만161명, 2018년 6월 51만6695명, 2019년 6월 51만4492명, 2020년 6월 51만398명이다.
특히 지난해 6월 기준 인구가 50만9421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최근 1년사이 9천여명이나 감소해 인구 감소폭이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포항시는 장기적으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인구유입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투자기업 유치 및 기업지원, 청년일자리 창출, 출산지원, 보육·교육 지원, 정주여건 개선, 산업구조 다변화 등을 통한 일자리창출과 교통, 의료,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생활 인프라 개선 등 중·장기적인 인구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은 포항시가 수년전부터 밝혀왔던 것이었지만 실제적으로 인구감소를 막지 못한 것으로 드러난 상황이어서 시가 안이한 탁상행정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다.
더구나 포항시의 인구감소 문제는 수년전부터 제기돼왔던 사항이었지만 시가 제대로 대처하지 않았고 지난해는 이를 위해 주소이전지원금 56억원을 사용하고도 인구증가 효과는 400여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져 예산을 낭비했다는 비판 등으로 올해는 시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진다.
결국 인구감소 문제는 시의 경우 기업이나 대규모 사업 유치 등 전방위적으로 대책마련을 빨리 강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도 지방활성화 차원에서 제2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추진하는 등 지방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