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야당 주장 비합리적" 野 "100% 복구 말 안돼"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27일 국회 정보위원회·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진상 파악에 나서는 가운데 여야가 날선 공방을 이어갔다.
우선 청와대 정무특보를 맡고 있는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은 이날 오전 TBS교통방송 '열린아침 고성국입니다'에 출연해 "지금 야당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돌이켜 보면 야당의 주장이 얼마나 비합리적인가를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정원의 대부분 업무는 국가 기밀사안이고 또 안보를 다루는 첨단영역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그러한 국정원 활동을 공개할 경우에는 이것이 국가 안보에 큰 저해 요인이 된다. 야당의 주장을 보면 안보에 관해 어떤 의식을 갖고 있는지 의심케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정원의 감청 대상 공개와 관련해 "이는 우리나라의 정보기관이 '과연 누구를 타겟으로 삼고 있는 것이냐'는 것을 국제적으로 알려주는 것인데 그런 정보를 공개하라고 주장하는 것은 결국은 우리 국정원의 활동을 공개하라는 주장"이라고 야당의 자료 요구를 일축했다.
김 의원은 "정치적인 논쟁을 가열시키고 결국에는 국정원을 궁지에 몰아넣기 위한 공세 수단으로 자료를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를 국민들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철수 의원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에 출연해 "(국정원이 삭제 자료를) 100% 복구했다는 주장을 일주일 후에 하고 있는데, 100% 복구했다는 것 자체에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료가 삭제된 직후에 복구하면 아주 빠른 시간 내에 100% 복구 가능하지만, 하루 이틀만 지나도 100% 복구는 불가능해진다. (복구까지) 일주일이 걸렸는데 그 시간을 무엇을 하는 데 썼는지 의구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정보위 전체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과 관련해 "다만 정보위에서는 국정원의 자료제출, 최소 5명 이상의 전문가 참여, 충분한 3가지가 필요하다"며 "확실하게 진상들을 파악할 수 있고, 그렇게만 된다면 내가 (정보위에) 참여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