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정원 해킹팀은 5명, 실무책임은 임과장&qu..
정치

"국정원 해킹팀은 5명, 실무책임은 임과장"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7/29 16:24 수정 2015.07.29 16:24
새누리"해킹프로그램 구매자도 임 과장"드러나

 19일 경기 용인시 용인동부경찰서에서 전날(18일) 용인 처인구의 한 야산 차량에서 숨진 채 발견된 국정원 직원 임모(45)씨의 유서 3장 가운데 국정원과 관련해 남긴 1장의 유서가 공개됐다.


새누리당은 29일 국정원 해킹팀이 5명이고 실무책임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임모(45)과장이라고 밝혔다.
국정원 출신으로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를 맡고있는 이철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 해킹팀이랑 그 사람들은 기술개발연구단"이라며 "기술개발연구단은 보통 한 팀에 4~5명으로 이뤄져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팀의 경우도 임모 과장이 다른 팀으로 옮기기 전에 그 팀의 팀원 중 한 사람이었다"며 "임 과장과 같은 사람들이 한 4명정도 더 있었고 그 위에 과장급 되는 팀장이 있었다. 그렇게 5명으로 팀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에 문제가 된 해킹 프로그램은 임 과장이 주도적으로 도입하자고 해서 했고, 운영도 임 과장이 직접적으로 운영을 다 했고, 그 옆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면서 그 일에 관해서는 연구원들이니까 이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새롭게 뭘 쓸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일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질적 타겟을 정하고 일할 때는 임 과장이 대부분을 다했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숨진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입을 주도했고, 운영 역시 임 과장이 했을 뿐, 다른 팀원들은 해킹 실무 내용에 대해선 자세히 몰랐다는 설명인 셈.
더 나아가 임 과장이 해킹 내용을 삭제한 데 대해서도 "누구에게나 삭제 권한은 없다"며 "공식적으로 인정된 내부 자료는 5년간 보관을 해야한다. 국장이 아니라 국정원장도 삭제권한이 없다. 국정원도 삭제사실을 유서를 보고서야 알았다"고 모든 책임을 임 과장에게 돌렸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 27일 국정원 현안보고에서 합의된 야당 추천 민간 IT 전문가들과 국정원 실무진과의 간담회에 대해 "당장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 같고 8월10일이나 11일, 그 둘 중에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국정원에서는 원장이 아주 강력하게 이야기했다"며 "로그파일을 민간인에게 공개하면 국정원이 외국정보기관 사이에서 협조도 안 되고 웃음거리가 된다"고 로그파일 민간 전문가 공개는 절대 불가능함을 분명히했다.
그동안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숨진 임 과장이 "단순 기술자"라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27일 국정원은 정보위 현안보고에서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매, 운영 등 모든 실무 책임자라고 입장을 바꿔, 야당이 말바꾸기 의혹을 제기하는 등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