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구입, 장·단기 대출 크게 줄어”
소비부진이 지속되면서 올해 1분기 가계의 여윳돈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보다 소득은 늘었지만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구입 혜택도 지난해 말에 끝나면서 가계의 은행 차입 규모도 크게 줄었다.
기업의 설비 투자 부진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자금 부족 규모는 지난해 말보다 축소됐다.
지난해 말 자금 잉여상태였던 정부는 재정 조기집행 지원을 위한 국채 발행에 나서면서 자금 부족 상태로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2014년 1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자료에 따르면 가계·비영리단체의 자금잉여(자금운용-자금조달) 규모는 25조3000억원으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15조6000억원)보다 9조7000억원 늘었다.
자금순환표 상에서 가계는 순수한 가계와 소규모 개인사업자를 지칭한다. 비영리단체는 소비자단체, 자선·구호단체, 종교단체, 노동조합 등이다.
김영현 자금순환팀 팀장은“올해 1분기에는 특히 부동산 구입과 관련된 가계의 장·단기 대출이 크게 줄었다”며“정부의 주택구입자금 지원과 취득세 면제 등 부동산 대책이 지난해 4분기로 끝난 탓”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말연시에 지급됐던 상여금도 1분기 가계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가계·비영리단체의 자금조달 규모는 지난해 말 24조5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 6조6000억원으로 17조9000억원 줄었다. 주택구입에 필요한 장기 차입의 경우 전분기(20조원) 보다 13조9000억원이나 축소됐다. 단기차입금은 지난해 4분기 5조2000억원에서 1분기 2조8000억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자금운용 규모는 31조8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8조2000억원 줄었다. 지난 1분기 가계가 금융기관 예금은 3조9000억원 늘였지만 11조원 어치의 채권을 처분했기 때문이다.
기업의 1분기 자금조달 규모는 47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40조9000억원 늘어났다.
지난 연말 부채관리를 위해 빚을 대거 청산했던 기업들이 올 1분기 다시 대출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기업어음과 회사채를 통한 직접금융은 크게 줄어들고 은행에서 조달하는 간접금융이 늘었다. 직접금융은 전분기(12조10000억원) 보다 7조4000억원 줄어든 4조7000억원 였다. 반면 간접금융은 전분기 4조8000억원 감소에서 27조 증가로 돌아섰다.
기업의 자금 운용은 41조4000억원으로 연말 리스크 관리를 위해 운용규모를 축소했던 지난해 4분기(-1조9000억원) 이후 41조4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
1분기 정부는 재정 조기집행에 나서면서 여윳돈이 줄고 자금부족 상태가 됐다. 정부는 국채발행과 한은 차입을 통해 자금조달 규모를 전분기 마이너스 7조5000억원에서 36조원 증가로 전환했다. 정부예금과 금융기관 예금이 늘어나면서 자금운용 역시 전분기(7조5000억원)보다 20조5000억원 늘어났다.
지난 3월말 기준 금융과 국외 부문을 제외한 금융자산의 경우, 기업이 45조7000억원으로 가장 크게 늘었다. 가계와 정부가 각각 37조6000억원, 31조7000억원씩 늘었다
금융부채는 기업이 43조원으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36조6000억 원, 가계는 6조5000억 원씩 불었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비금융부문의 순금융자산은 1679조3000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 말보다 28조8000억원 늘어났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31조원 증가했다. 정부와 기업이 4조000억원, 2조8000억원씩 줄었다.
금융자산을 금융부채로 나눈 비율은 1.40배로 지난해 말과 동일한 수준였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16배에서 2.18배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