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만명 생활비 등 이용
대부업체의 지난해 말 기준 평균 대출 금리가 연 31.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안전행정부가 합동으로 실시해 19일 발표한 '2013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등록 대부업자(대부중개업자 포함) 수는 지난해 말 기준 9326개로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897곳(8.8%) 감소했다.
이들의 평균 대출 금리는 31.9%로 지난해 6월 말(32.3%)에 비해 0.4%p 하락했다.
평균 신용대출 금리는 34.6%, 평균 담보대출 금리는 17.2%를 각각 나타냈다.
대부업체들의 평균 대출 금리는 2010년 말 37.7%에서 2011년 말 34.2%, 2012년 말 32.7%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지만 여전히 높다.
최고금리 인하 정책과 중개수수료 상한제 도입 등 영업여건의 변화가 대부금리 인하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분석이다.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린 사람은 226만4000명이었다. 국민 20명 중 1명은 고금리 대부업체를 이용한 셈이다. 226만4000명 중 신용대출을 이용한 사람은 224만명, 담보대출을 이용한 사람은 2만4000명이었다.
이들 중 62.2%가 회사원, 23.6%가 자영업자였다. 학생과 주부도 6.3%였다. 자금 용도는 생활비 49.3%, 사업자금 24.9%, 타대출상환 8.5% 순이었으며, 1년 이상 장기 이용자가 54.6%, 1년 미만 이용자가 45.4%였다.
대부업체들의 대출 잔액은 10조160억원으로,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8400억원(9.1%) 증가했다. 전체 대출잔액 중 신용대출이 8조4292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담보대출은 1조5868억원이었다.
대형 대부업체들이 금리인하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를 만회하고자 대부 규모를 적극적으로 확대했고, 수익성이 악화된 영세 대부업자들은 폐업을 선택했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실제 대부업체 상위 5곳의 대출 잔액은 2012년 말 3조8113억원에서 지난해 말 4조6550억원으로 증가했다.
대출금리가 낮아지면서 연체율은 소폭 줄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대형 대부업체의 연체율은 7.6%로 지난해 말(8.6%)과 지난해 6월 말(8.4%)에 비해 줄었다.
금감원은 "올해 4월 최고금리를 연 34.9%로 인하했는데, 이 조치가 시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무등록 업체의 불법적인 대부행위를 막고 서민금융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