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일본 아베 신조 정부가 발표한 고노(河野) 담화 검증보고서가 한일간 협의내용을 ‘교묘하게 편집한 짜깁기 보고서에 불과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정부가 한일 외교당국간 협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누락하거나 왜곡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는 등 의도적인 흠집내기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러한 보고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르면 23일 일본 대사 초치를 비롯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리 측의 의견을 전달하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측의 성의있는 태도를 압박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이 이번 고노담화 검증결과 발표를 신호탄으로 국제 여론전을 펼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책도 강구하는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펼쳐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정부 소식통 등에 따르면, 고노 담화 검증보고서가 인용한 한일 외교당국간 협의내용 중 정부가 아베 정부가 자의적으로 짜깁기했다고 보는 대목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육성 증언 등과 관련된 부분으로 전해졌다.
일본 비자민 연립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 발표에 앞서 김영삼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청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에 사의를 피력했는데, 아베 정부가 이러한 내용을 이번 발표에서 의도적으로 누락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김영삼 정부에 사의를 표명한 부분은 빼먹은 채 양국간 협의 사실만 전달함으로써 고노 담화가 실체적 진실에 기초를 둔 것이 아니라, 마치 양국간 정치적 타협의 산물로 비쳐지게 유도했다는 것이다.
특히 위안부 할머니들 증언의 신빙성에 의문을 표시하며, 증언 청취가 요식적 행위에 불과했다는 식으로 폄훼하고 있지만, 이는 실상과 다르며 생존자들의 증언을 중시하는 관행과도 배치된다는 게 우리 정부의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일본 정부는 당시 김영삼 정부에 고노 담화 관련 문구 협의를 강력히 요청하면서도 고노 담화는 일본 스스로 판단해서 작성한다는 원칙을 우리 측에 전달해 왔는데, 보고서 내용은 이러한 원칙을 저버렸다는 게 정부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 따라 이르면 23일 주한 일본 대사 초치를 비롯해 다양한 대응방안을 밟아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