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되살아나는 오픈프라이머리 힘 얻을까..
정치

되살아나는 오픈프라이머리 힘 얻을까

운영자 기자 입력 2015/10/19 19:54 수정 2015.10.19 19:54
野 서명의원 과반넘어, 20일 의총 가능성

  '기득권 지키기' 비판여론도 만만찮아
 
 수면 아래로 들어간 듯했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카드가 급격히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최규성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해 의원총회를 열어야 한다며 당 소속 의원 79명의 서명을 받아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전달한 것이 불씨가 됐다.
최 의원의 제안은 5대 범죄(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전과자를 제외하고 누구나 경선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법적 도입하자는 것이다.
최 의원은 19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이해찬 의원도 서명하는 등 79명의 동료의원들이 동참해줬다"며 "화요일쯤(20일) 의총을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현역에 대해 평가해 공천배제를 하는 방안에는 반대하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은 128명으로 서명한 의원 79명은 과반을 훌쩍 넘는다. 때문에 당 지도부도 의총 소집에 불응할 수 없는 상황이다.
새정치연합은 당 소속 의원들을 평가해 하위 20%를 공천에서 배제하는 혁신안을 기반으로, 평가를 지휘할 조은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을 선임한 상태다.
하지만 당내 반발로 최고위원회에서 하위 20%를 공천에서 배제하는 시행세칙이 처리되지 않은데다 79명이 반대서명에 참여하면서 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당내 주류와 혁신위 등은 반발
 문재인 대표측 등 당내 주류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혁신위원회 역시 19일 활동 마무리 기자회견을 갖고 "(오픈프라이머리 의총 요구는)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고 일축했다.
혁신위는 "최 의원 등의 요구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평가를 통한 하위 20% 공천배제, 예비후보자 검증을 통한 도덕성 강화 등 당헌·당규로 채택된 혁신위원회의 시스템 공천안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시도이자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득권을 퇴출시킨 그 자리를 민생복지정당을 실천할 인재로 채워야 한다"며 "당헌 당규의 요구사항을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움직임은 국민과 당원과의 약속을 어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19일 기자들로부터 야권 일각의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에 대한 의견을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결과를 보고 말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정치권은 야권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김무성 대표에게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강하게 추진했던 김무성 대표에 대해 당내 친박계들이 반대하며 내세운 주된 논리가 '야권은 20% 전략공천을 하는데 100% 국민경선을 하면 지는 싸움'이라는 주장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79명의 반란'이 힘을 얻을 지는 미지수다.
새정치연합 주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법제화된다고 해도 당헌당규에 다른 현역 평가작업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은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 역시 이날 기자들을 만나 "오픈프라이머리 여부와 관계 없이 평가는 이뤄져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며 "그렇게 상충될 일은 아닐 수도 있고…"라고 답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79명이 과반을 넘기는 하지만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며 "여권이 어떤 반응을 내놓을 지 등 여러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