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반만에 첫 만남…위안부 문제 등 현안 의견 교환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달 2일 서울에서 취임 후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보다 하루 앞선 다음달 1일에는 한·일·중 정상회의가 3년6개월 만에 서울에서 재개된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8일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박 대통령은 이번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계기에 아베 총리와 11월2일 오전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 발전방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가 가진 것을 마지막으로 양국 관계가 갈등국면에 접어들면서 중단된 상태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각각 2013년 2월, 2012년 12월 취임한 이후 한번도 정상회담을 갖지 않았다.
그동안 한·일 정상회담 개최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했던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김 수석은 "두 정상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를 비롯해 양국간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각종 다자 정상회의와 리콴유(李光耀) 전 싱가포르 총리의 국가장례식 등을 통해 아베 대통령과 수차례 조우(遭遇)한 바 있지만 냉랭한 양국 관계를 반영하듯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지는 못했다.
지난 2014년 3월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 계기에 버락 오바마 대통령 등과 함께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갖기는 했지만 한·일 정상끼리만 양자회담을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한·일 정상은 별도의 오찬이나 기자회견 등의 일정은 갖지 않는다고 김 수석은 전했다. 아베 총리의 방문이 공식방문 등의 형식이 아닌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방문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한·일 정상회의에 앞서 다음달 1일 오후에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 영빈관에서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다.
한·일·중 3국은 1999년 아세안+3(ASEAN+한·중·일) 회의를 계기에 최초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2008년부터는 3국 간 정상회의를 별도로 개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2008년 12월 일본 후쿠오카 ▲2009년 10월 중국 베이징 ▲2010년 5월 한국 제주도 ▲2011년 5월 일본 도쿄 ▲2012년 5월 중국 베이징에서 다섯 차례 정상회의가 개최된 바 있다.
그러나 일본과 중국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둘러싸고 영토분쟁을 벌이면서 2013년 서울 회의가 무산된 이후 개최되지 않다가 이번에 다시 열리게 됐다.
김 수석은 "2012년 5월 베이징에서 개최된 5차 회의 이후 약 3년 반 만에 개최되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협력이 정상적으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3국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사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일·중 정상은 이번 회의를 통해 3국 협력의 현황을 평가하고 ▲경제·사회 ▲지속가능한 개발 ▲인적·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동북아 정세, 동아시아 지역협력, 국제경제 동향 등 주요 지역과 국제 문제에 관해서도 폭넓은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3국 정상은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회의 결과를 발표한다.
3국 정상은 이번 회의 후에 북핵 문제와 관련한 공동선언도 채택할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석은 "3국 정상회의가 열리면 항상 공동선언이 채택돼 왔다"며 "이번에도 3국 정상회의 결과로서 공동선언을 채택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3국 정상은 같은 날 오후 '한·일·중 3국 비즈니스 서밋(Business Summit)'에도 참석해 3국 기업인들을 격려할 예정이며 저녁에는 환영만찬에도 참석한다.
한편 박 대통령은 한·일·중 3국 정상회의에 하루 앞선 이달 31일 리 총리와 한·중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과 한반도를 포함한 지역 및 국제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