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재발견·문제 해결 교육
청도군과 청도혁신센터는 '2024 경북-청도 비영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교육・컨설팅 사업'을 진행했다.
이번 사업은 지역 경제 쇠퇴, 고령화와 인구소멸 등 오늘날 지방이 가진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해결 방법을 가진 비영리 스타트업 육성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다음세대재단과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준비했다.
청도군은 지난해 8월 ‘경북-청도 로컬 임팩트 비즈니스 포럼 <로컬을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임팩트 비즈니스의 세 가지 경로>’에서 농촌에서의 비영리 스타트업 경로를 제시하였으며, 농촌 정주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번 사업은 지난달 30일부터 9월 20일까지 경북과 청도에 소재한 6개 팀을 대상으로 청도 로컬임팩트랩에서 진행됐다.
경북 및 청도의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비영리 스타트업의 방향성과 경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프로그램은 비영리 스타트업 개념에 대한 교육과 사회혁신 관점에서 지역사회 문제를 정의하고 사업 모델을 설계하는 워크숍, 비영리 스타트업 사업 계획을 위한 1대 1 컨설팅으로 구성됐다.
다음세대재단 방대욱 대표이사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청도에서 비영리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어 의미가 깊다“라며 “지역사회에 맞춘 비영리 조직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지원이 있기를 소망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카페 및 케이터링 사업을 운영하며 농산물 체험 농촌 관광 아이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꾸꾸네' △청년 커뮤니티 및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 및 공동체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다스' △지역 공간을 운영하며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로리인' △평생교육으로 농촌 시니어의 사회참여를 끌어내는 ‘할_배스트=>할:베스트' △김천시에서 지역 청년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미미정' △지역 농장을 활용해 아동・노인 체험 미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희망세움터'가 참여했다.
군수는 “유연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비영리 스타트업이 다양하게 육성되어 지역의 자원을 재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며 “비영리 스타트업의 다양한 경로와 사례를 학습함으로써 지역 소멸의 위기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이종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