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안에 제10차 국장급 협의 열릴 가능성…일정조율
지난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기로 의견을 모으면서 정부가 실무 작업에 착수했다.
선남국 외교부 부대변인은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국장급 협의를 중심으로 가능한 조기에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양국 간 협의를 가속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일 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모두 9차례에 걸쳐 국장급 협의를 진행해왔다. 국장급 협의에서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으며 독도 문제 등 양국 간 현안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됐던 것으로 전해진다.
선 부대변인은 "(국장급 협의) 일정과 관련해서는 일단 양국 관련 외교 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일본 측과 조율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양국 정상이 '조속한 해결'의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안에 제10차 국장급 협의가 열릴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 측에서는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 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이시카네 기미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나설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달 27일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국장급 회담을 진행, 실무적인 조율을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된 것으로 인식해오던 일본 정부의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한국 측의 요구를 받아들인만큼 앞으로 한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다만 아베 총리가 기본적으로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과거에 비춰볼 때 실질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거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한편 정부에 공식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남은 생존자는 모두 47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