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하향, 우수 학생 외지 유출 등 문제 제기
경북교육청, 학부모 전체 대상 설문조사 예정
서석영 도의원, 찬반 조사 비판 “개선책부터 찾아야”
9일 포항교육지원청에서 열린 '포항 고교평준화 제도 관련 기자브리핑'에서 임종식 경북교육감이 설명을 하고 있다.
|
포항지역 고입 평준화 논란이 또 다시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8년부터 시작돼 10여년이 훨씬 지났지만 중간점검도 없이 학력 하향, 우수인재 외지 유출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개선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북도내에서 유일하게 포항만 고입 평준화가 시행되고 있어 인근 도시로 이탈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다 향후 대구경북이 통합될 경우 대구로 이탈하는 학생들도 많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경북교육청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겠다는 계획이어서 서석영 경북도의원은 고입 평준화 찬반조사보다 개선책을 찾는 것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9일 포항교육지원청 3층 중회의실에서 포항시 고교평준화 제도와 관련한 기자 브리핑을 열었다.
한편, 고교평준화 제도는 추첨을 통해 중학교 졸업 예정자(또는 동등의 학력을 가진 자)를 지역 내 다수의 일반계 고등학교 중 특정 학교로 배정을 하는 제도이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포항 지역 고교평준화 논의의 경과, 포항의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고교평준화 유지 찬‧반 설문 조사 실시의 배경 등이 설명됐다.
경북교육청은 지난해 11월부터 ‘포항 평준화 제도 개선 TF 협의회’를 다섯 차례 열어 평준화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해 왔고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영남대학교 연구팀에 의뢰해 포항 평준화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도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영남대 위탁 연구팀이 학생 513명, 교원 250명, 학부모 466명 총 1,2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포항 평준화 제도에 대해 ‘유지(25.6%)’, ‘개선 후 유지(45.7%)’, ‘폐지(14.6%)의 의견이 있었다는 것이다.
기자 브리핑에 앞서 이날 오후 2시 포항교육지원청에서는 포항 지역 초․중․고 교장 회의 또한 열렸다. 평준화 제도에 대한 논의 현황을 공유하고 포항 지역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협조 요청도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의 결과는 향후 평준화 제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경북교육청은 밝혔다.
평준화 제도에 대하여 ‘유지’ 의견이 많으면 현행 평준화 제도의 보완책을 마련하고 ‘폐지’ 의견이 많을 경우 공청회 등을 통해 추가 의견을 수렴해 정책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평준화 이전에는 경북 전역에서 우수 학생들이 포항으로 유학을 왔으나, 평준화 이후 타지역 학생 유입이 감소되고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한편, 고입 평준화는 지난 1998년 포항지역 고교 평준화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회의에 의해 최초 발의돼 2002년부터 6년간 찬반토론 및 준비과정을 거쳐 2008년부터 시작됐다. 김재원기자
‘뇌물수수 혐의’ 임종식 … 검찰, 징역 7년 구형
검찰이 뇌물수수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에게 징역 7년을 구형했다.
10일 대구지법 포항지원 형사1부(부장판사 주경태) 심리로 열린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등 혐의로 기소된 임 교육감에게 징역 7년에 벌금 1억5000만원, 추징금 7000만원을 선고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임 교육감은 지난 2018년 6월 제7회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경북교육청 소속 교직원들로 결성한 조직을 활용해 선거운동을 기획하고 선거 캠프 관계자들에게 선거 운동 대가로 금전을 제공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