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양당 지도부·정개특위 간사 참여 '4+4 회동' 검토
국회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기간을 다음달 15일까지 연장한 가운데 여야간 평행선을 이어가고 있는 선거구 획정에 대한 협상이 이번주부터 본격 재개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야 지도부간 선거구 획정 담판 회동이 불발된 이유와 마찬가지로 정개특위 역시 농어촌 지역구 의석 및 비례대표 의석의 축소를 놓고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라 조만간 정상 가동될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누리당에 이번주 초에 양당 지도부와 정개특위 간사가 참여하는 4+4 회동을 다시 제안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정개특위는 4+4 회동에서 도출된 합의안을 가지고 실무적인 조율을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새정치연합 최재천 정책위의장은 15일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정치지도자들의 책임 있는 의견수렴 절차 및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제는 논의가 아니라 '결정'이 중요한 시기"라고 못박았다.
새정치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이날 통화에서 "정개특위가 먼저 열릴 가능성보다 지도부 담판이 다시 한 번 열릴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주 초에는 한번 더 지도부 간 회담을 해보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변인은 "결국 법정시한을 못지켰지만, 헌법재판소가 12월 31일까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힌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라며 "어쨌든 12월31일까지는 선거구획정 논의가 유효하겠지만 그 전에 어떻게든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여당은 농어촌 지역구 축소를 막기 위해선 비례대표를 7~9석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의석 수를 축소하더라도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MBC '시사토크 이슈를 말한다'에 출연해 "비례대표 기능을 지역구 의원들이 많이 할 수 있다. 비례대표의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구에도 많이 있다"며 "새정치연합이 비례대표 한 석을 못줄이겠다고 해서 진전이 안되고 있다"고 책임을 야당에 돌렸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반면 "우리는 여당이 갑자기 들고나온 국회선진화법 개정까지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를 가졌는데 여당이 최고위원과의 논의에서 받을 수 없다고 해 마지막에 결렬이 됐다"고 여당을 탓했다.
비례대표 의석 수를 소폭 줄이는 것에는 공감대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번주 초에 4+4 회동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여당이 주장하는 국회선진화법 개정과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대해서는 여야의 의견차가 커 바로 합의안이 도출될 지는 미지수다.